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제2금융

정기예금보다 못한 퇴직연금…작년 수익률 고작 1.01%

-퇴직연금 적립금 규모 190조원

-비용부담 0.47%로 연간수익률 대비 과도

-2.1% 계좌만 연금으로 수령

/금융감독원



지난해 퇴직연금 수익률이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증시 부진에 실적배당형 상품의 수익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하면서 연간 수익률이 1.01%로 주저앉았다.

7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퇴직연금 적립금 규모는 190조원으로 전년 대비 12.8% 증가했다. 특히 세제혜택과 가입대상 확대로 개인형퇴직연금(IRP)의 성장세가 두드러졌다.

퇴직연금의 대부분인 90.3%가 원리금보장상품으로 운용됐고, 9.7%만이 실적배당형상품으로 운용됐다.

덩치는 커졌지만 수익률은 부진했다.

지난해 연간 수익률은 1.01%로 2016년 1.58%, 2017년 1.88%보다도 낮다. 같은 기간 은행 정기예금 금리 1.99%의 절반 수준에 불과하다.

확정급여형(DB)에 비해 실적배당형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확정기여형(DC)·기업형IRP와 개인형IRP의 수익률 하락폭이 더 컸다. 각각 0.44%, -0.39%다.

증시 하락으로 실적배당형 상품의 수익률이 부진했다지만 원리금보장형 상품만 놓고 봐도 1.56%로 은행 정기예금 금리에 못 미친다.

금융권역별로는 원리금보장형 비중이 높은 손해보험의 수익률이 1.72%로 가장 높았으며 ▲근로복지공단 1.58% ▲생보 1.40% ▲은행 0.97% ▲금투 0.39% 등의 순이다.

최근 5년, 10년 간 연환산 수익률(총비용 차감 후)은 각각 1.88%, 3.22%다.

장기적으로는 실적배당형의 성과가 더 좋았다.

실적배당형의 최근 5년, 10년 간 연환산 수익률은 각각 1.48%, 4.80%로 원리금보장형 각각의 수익률인 1.94%, 3.07%를 앞선다.

낮은 수익률로 연금가입자가 체감하는 퇴직연금 수수료 수준은 높았다. 지난해 퇴직연금 총비용부담률은 0.47%로 전년 대비 0.02%포인트 상승했다.

퇴직연금은 대부분은 일시금으로 받아갔다.

지난해 만 55세 이상 퇴직급여 수급을 개시한 계좌에서 연금수령을 선택한 비율은 2.1%에 불과하며, 97.9%가 일시금 수령을 선택했다.

퇴직급여 수령액 기준으로는 전체 5조9002억원 중에서 21.4%가 연금으로 수령했다.

일시금수령 계좌의 평균 수령액은 1597만원으로 연금수령 계좌 평균 수령액(2억 575만원)의 7.8% 수준이다. 상대적으로 적립금이 적은 소액 계좌의 경우 연금보다는 일시금 수령을 선호한 것으로 보인다.

금감원 관계자는 "퇴직연금 시장의 양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원리금보장형 위주의 자산운용과 저금리 기조에 따라 수익률이 여전히 저조한 실정"이라며 "퇴직연금 수익률 제고와 수수료 합리화를 위해 노력하는 한편, 연금가입자 편의 증진을 위해 정보공시 강화 등 인프라 정비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