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美트럼프와 정상회담 앞둔 文… '북미대화 재개'에 머리 맞댄다[/b]
[b]김현종 "다가올 韓美대화에서는 좋은 결과 나올 것… 동맹관계도 강조"[/b]
[b]北 비핵화 방안 완성된다면 남북미 3자 정상회담 가능성도 '꿈틀'[/b]
문재인 대통령이 이른바 '외교위크'를 준비 중이다. 외교위크는 슈퍼위크(매우 중요한 행사 및 일정이 잡힌 주)에서 비롯된 말이다. 문 대통령은 이번 주 10일부터 11일 양일간 미국을 방문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북미대화 재개'를 놓고 공조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지난 2월 27일부터 28일까지 양일간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린 제2차 북미정상회담 때 비핵화를 놓고 어떠한 합의를 이루지 못했다.
문 대통령의 다가올 한미정상회담을 놓고 외교계와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긍정적인 평가를 점쳤다. 한미정상회담 사전 조율을 위해 미국을 방문하고 돌아온 김현종 청와대 국가안보실 제2차장은 지난 5일 새벽 4시30분쯤 인천국제공항에서 취재진과 만나 "정상간 의제를 논의했다"며 "(다가올 한미정상회담에서는) 아마 좋은 결과가 나올 수 있을 것 같다"고 했다. 이어 "굳건한 동맹관계를 그쪽에서 여러 번 강조했다"고도 했다.
그뿐인가.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6일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공화당유대인연합회 연례행사 때 연설을 통해 "우리는 북한과 잘 지내고 있다. 나는 김 위원장과 아주 좋은 관계다. (다만) 앞으로 무슨 일이 일어날지 말할 수는 없다. 올바른 합의가 있어야 한다"고 했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부 장관은 최근 자국 CBS 방송 '디스 모닝'에 출연해 "제3차 북미정상회담이 개최될 것으로 굳게 믿는다"고 했다. 이어 "(오는 11일 열릴 북한 최고인민회의 때) 핵포기를 선언해 북한으로서는 바람직한 방침을 밝히길 기대한다"고도 했다.
다가올 한미정상회담의 긍정적인 평가는 '남북미 3자 정상회담 가능성'으로 이어졌다.
우선 '트럼프 대통령의 국빈방한 가능성'이다.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은 지난 4일 국회 운영위원회 전체회의에 참석해 "(트럼프 대통령 방한) 가능성은 전혀 배제하지 않는다"며 "(오는 6월쯤 트럼프 대통령 방한 관련) 저희가 기대하고 있고 미국 역시 그렇게 암시 중"이라고 했다. 일본에서는 오는 6월 '주요20개국(G20) 정상회의'가 열린다. 트럼프 대통령의 상반기 국빈방한이 성사된다면 G20 정상회의 후 열릴 가능성이 높다.
다음은 대북특사다. 정 안보실장은 국회 운영위원회 전체회의 때 '대북특사 파견 가능성' 관련 "가능성이라기 보다는 여러 가지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했다. 현 정부가 북미간 중재자 역할을 자임하는 있다. 따라서 다가올 한미정상회담 때 북한을 비핵화 테이블로 다시 끌어들일 방안이 마련된다면 대북특사 가능성은 매우 높아진다.
익명을 요구한 정계 관계자는 7일 메트로신문과의 통화에서 "한미정상회담이 성공적으로 진행된다면 당연히 대북특사 가능성도 힘을 받는다. 오는 11월 부산에서 열릴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때 김 위원장의 방한도 힘을 받을 것"이라며 "이 경우, 남북미 정상회담이 진정 성사될 수도 있다"고 했다.
한편 문 대통령은 이달 마지막 주 역시 외교위크로 분주할 예정이다. 세바스티안 피네라 칠레 대통령이 오는 28일부터 29일까지 양일간 우리나라를 국빈방문할 예정이기 때문이다. 두 정상은 실질경제 협력을 비롯해 제반분야 등에서 협력을 공고히 다질 전망이다. 더욱이 피네라 대통령의 이번 국빈방한은 현 정부 들어 '최초 중남미 정상 국빈방한'인 점이서 의미가 깊다는 게 청와대 측 설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