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세계 최초로 '5G 상용화'에 성공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8일 오전 서울 올림픽공원에서 열린 '세계 최초 5G 상용화-대한민국이 시작합니다' 행사에 참석해 언급한 발언이다. 문 대통령은 "이동통신 3사(KT-SK텔레콤-LG텔레콤)가 상용화 서비스를 시작했다. (5G 상용화는) 세계 최초 초고속인터넷 상용화에 이은 또 하나의 쾌거"라면서 이렇게 말했다. 문 대통령이 언급한 '5G'는 5세대 이동통신의 약자로 4G(4세대 이동통신, LTE)보다 빠른 전송속도를 갖춘 게 특징이다. 초고속-초고용량 전송서비스 구현이 가능하단 얘기기도 하다.
문 대통령은 "자율주행자동차와 스마트공장을 비롯해 데이터 통신을 이용하는 분야는 향후 급속도로 늘어날 것"이라며 "자동차가 많아질수록 더 넓은 길이 필요한 것처럼 데이터를 주고받는 이동통신망도 더 넓고 빠른 길이 필요하다. 4G보다 속도는 20배, 기기(전자제품)는 10배 늘어나고 지연속도는 10분의 1로 줄어든 '통신 고속도로'가 바로 5G"라고 했다.
문 대통령은 "경제에서도 5G는 고속도로로 비견될 수 있다. 산업화 시대 때 고속도로가 우리경제의 대동맥이 되어줬듯,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방대한 데이터를 초고속-초연결 5G 이동통신이 우리 산업과 경제에 새로운 기회를 만들어줄 것"이라고도 했다.
즉 5G 시대의 개막은 통신기능에 한정돼썬 4G와 달리, 전 산업계의 디지털혁신을 선도 가능하게 한다는 점을 문 대통령이 부각시킨 것이다.
실제 문 대통령은 우리나라의 세계 최초 5G 상용화를 강조한 후 "5G는 열려 있는 세계"라면서 "5G에 기반한 신산업 생태계는 청년들에게는 새로운 도전의 기회, 국가적으로는 제2벤처붐을 일으키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했다.
문 대통령은 5G 생태계 조성도 부각시켰다. 문 대통령은 "우리 정부는 국가 차원의 '5G 전략'을 추진해 세계 최고의 5G 생태계를 조성하려고 한다. 2026년 세계시장의 15%를 점유하고 양질의 일자리를 60만개 창출, 730억불 수출 달성을 목표로 세웠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정부와 민간이 함께 30조원 이상을 투자해 5G 전국망을 2022년까지 조기에 구축하고, 자율주행차-로봇-드론-스마트공장 등 5G 기반의 새로운 산업을 육성할 것"이라고도 했다.
한편 문 대통령은 행사 축사 후 유영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의 '5G+ 추진전략'을 청취했다. 문 대통령은 5G 실감협업 및 홀로그램 공연, 증강현실 콘서트 등 다양한 5G 서비스를 참관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