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간 보건의료 분야 연구개발(R&D) 협력을 통해 통일 비용을 10분의 1로 줄일 수 있을 것이란 의견이 나왔다.
신희영 서울대 의과대학 통일의학센터 소장는 10일 서울 여의도동 국회에서 열린 제30차 지구촌 보건복지포럼에서는 남북 보건의료협력이 통일 이후 공멸이 아닌 상생으로 가는 길을 열어줄 것이라고 강조했다.
국회는 남북한 통일에는 독일 통일 때보다 훨씬 많은 비용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독일의 통일 비용은 15년간 대략 2000조원 가량이 쓰인 것으로 추정된다. 국회에 따르면 남북한의 소득 수준과 상대적 인구 비중은 독일보다 더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특히, 2008년 이후 10여년 간 남북 교류협력이 단절되면서, 남북한의 보건의료 분야 격차는 더욱 증대됐다. 통일의학센터에 따르면 남한의 기대수명은 82.7세로 북한(71.9세)보다 10.8세가 많다. 성인 사망률 역시 북한이 인구 1000명당 132명으로 남한의 2.2배에 달하고. 모성 사망비와 5세 미만 아동 사망률은 각각 7.5배, 5.7배 높다.
신 소장은 "국회예산정책처가 대략 추정한 남북 보건의료 격차에 따른 비용은 40조원에 달한다"며 "독일은 통일 15년 전부터 동서간 보건의료협정을 맺어 준비해왔다는 것을 감안하면 우리도 단순히 인도적인 지원을 넘어서 보건의료 협력과 같은 현실적인 방안을 시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남북한의 의료 R&D 협력을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제시했다. 북한의 질병 부담을 줄이는 동시에, 새로운 수익원을 창출하고 남북 교류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안이다. 신 소장은 결핵과 기생충, B형간염, 모자보건, 식품영양, 만성질환, 천연물신약 등 12가지 분야의 협력 가능성을 제시했다. 가장 유력한 분야는 천연물신약 개발이다.
신 소장은 "북한에서는 대부분 의약품에서 천연물 연구가 35%를 차지할 만큼 많은 데이터를 갖고 있다. 의약품이 부족하기 때문에 대체 가능한 천연물에 대한 연구를 많이 한 것"이라며 "북한과 함께 천연물 신약을 연구할 경우, 개발 기간을 5년 이상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기생충이나 결핵균과 같이 북한이 가진 질환을 활용하는 방안도 제시했다.
신 소장은 "북한 인구의 90%가 인체에 기생충을 갖고 있고 아직도 13만개의 결핵균이 검출되는데 의학연구자 입장에선 정말 귀중한 천연자원"이라며 "기생충을 활용한 아토피 치료제나, 결핵균을 활용한 결핵백신을 개발한다면 노벨상을 받는 것 뿐아니라 전세계에서 큰 수익을 올릴 수 있다"고 강조했다.
또 의료 접근성이 좋지 않은 북한의 진료 환경 개선을 위해 이동진료병원, 이동형 자가 수액 제조기, 백신캐리어 등을 개발하면 북한 뿐 아니라 아프리카 등의 의료 정상화에도 도움이될 것으로 기대했다.
신 소장은 "북한은 질환이 잘 보존돼 있는 의료의 갈라파고스 섬과 같은 귀중한 곳이다. 10년 기간을 두고 미리 투자하면 통일 됐을때 드는 비용은 10분의 1로 줄어들 것"이라며 "퍼주기식 지원이 아니라 R&D 협력을 활용한면 조단위의 부가가치를 창출하며 상생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 수 있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