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간편결제 이용금액이 80조원을 넘어섰다. 간편결제가 본격화된 2016년 이후 3배 가량 급증한 가운데 누적 가입자수도 1억7000만명에 달했다.
17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간편결제 가입자는 약 1억7000만명(복수 서비스 이용시 중복 합산)으로 집계됐다.
현재 간편결제는 은행·카드사·전자금융업자 중 총 43개사가 50종의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업권별로는 네이버·카카오페이 등 전자금융업자의 가입자수가 1억1300만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카드사 3300만명 ▲단말기 제조사 1600만명 ▲은행 800만명 등의 순이다.
지난해 이용건수는 총 23억8000만건이다. 간편결제가 본격화된 2016년 8억5000만건에서 2017년 14억900만건, 2018년 23억8000만건으로 이용이 빠르게 늘었다.
간편결제 전체 이용금액은 80조1453억원으로 2016년 26조8808억원 대비 약 3배 성장했다.
사업자별로는 전자금융업자의 간편결제 금액이 30조9000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카드 27조1000억원 ▲단말기제조사 20조7000억원 ▲은행 1조4000억원 등의 순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이베이코리아와 네이버, 쿠팡 등 겸업 전자지급결제대행(PG)사가 제공하는 자사 유통망에 기반한 간편결제 서비스의 거래 금액이 크게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결제수단별 이용금액은 신용(체크)카드가 91.2%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결제영역별로는 온라인에서의 이용금액이 60조6029억원으로 75.6%를 차지했다. 오프라인에서의 사용은 19조5424억원, 24.4%다.
금감원 관계자는 "지급결제수단 등록절차의 취약점을 이용한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적절한 보호조치 등을 적용할 것"이라며 "시스템 장애 등으로 간편결제 서비스가 중단되지 않도록 서비스 제공 금융회사 및 전자금융업자 스스로 시스템 안정성을 높이도록 유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