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국회에서의) 추가경정예산 처리가 늦어질수록 국민 삶과 민생경제에 부담이 늘어날 것"이라고 우려했다.
문 대통령은 29일 오후 청와대에서 열린 수석보좌관회의 때 "경제는 타이밍"이라며 이렇게 우려했다.
문 대통령은 "국회가 조속히 정상적으로 가동되어 정부가 제출한 추경이 신속히 심사되고 처리되길 희망한다"고도 했다.
문 대통령이 국회로부터 신속한 추경 처리를 요청한 까닭은 이렇다. 현재 여야는 '연동형 비례대표제 패스트트랙(신속처리 안건 지정절차)'을 놓고 첨예한 갈등을 빚고 있다. 이로 인해 정부의 추경 예산안은 국회에서 계류 중인 실정이다.
여야가 첨예한 갈등을 빚고 있는 연동형 비례대표제는 제20대 국회가 진행 중인 선거제도 개혁의 일환으로 '정당 득표율에 비혜해 당선자 수를 결정하는 방식'이다. 국회에서 또 다른 패스트트랙으로는 고위공직자비리수사처 설치가 있다.
문 대통령은 수보회의 때 '신산업을 통한 미래먹거리 창출'을 강조하기도 했다. 문 대통령은 "추격형 경제에서 선도형 경제로 전환이 관건"이라며 "이를 위해 정부는 그동안 신산업 육성에 주력했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경제 체질과 생태계 혁신을 위한 데이터-인공지능-수소경제-5세대 이동통신 등 4대 플랫폼 경제와 바이오헬스-스마트공장-스마트팜-핀테크-드론 등 8대 선도산업 육성전략을 추니했다"며 "더욱 속도감 있게 산업 전반을 혁신시켜 우리경제가 새롭게 변화하고 도약하는 계기로 만들 것"이라고도 했다.
한편 문 대통령은 민간투자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민간투자가 살아나야 경제에 활력이 생긴다"며 "최근 SK하이닉스가 용인 반도체 클러스트에 120조원, 삼성이 시스템반도체에 133조원 투자 계획을 발표한 게 국가경제를 위해 매우 반가운 소식"이라고 했다. 이어 "앞으로도 기업투자가 더욱 활발히 이뤄지길 기대한다"고 부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