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정청이 청년미래기획단을 설치, 청년 문제 해결을 위한 실질적 대안을 마련하겠다고 2일 밝혔다.
더불어민주당과 국무조정실 등 정부, 청와대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청년정책당정협의를 열고 청년정책 수립을 모색했다. 이날 협의에는 민주당에서 홍영표 원내대표와 조정식 정책위의장, 한정애 정책위수석부의장 등이, 정부에서는 노형욱 국무조정실장과 청와대 이용선 시민사회수석, 민형배 사회정책비서관 등이 참석했다.
당정은 이 자리에서 홍영표 민주당 원내대표를 단장으로 한 청년미래기획단을 구성, 원내에 설치해 '청년기본법'을 조속히 제정하겠다고 알렸다. 기획단은 두 달 간의 활동을 통해 청년정책에 대한 의견과 소통구조의 문제점, 중앙통제타워의 필요성 등 다방면적인 청년 문제를 논하고 기본법을 수립할 예정이다.
홍영표 원내대표는 이날 "청년의 절망감과 상실감은 기성세대와 정치권이 함께 책임지고 앞장서 해결해야 한다"며 "청년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청년기본법 등을 야당과 협의해 조속히 국회를 통과시키겠다"고 말했다.
국무총리실은 중앙통제타워를 맡아 주거·복지·출산 등 분야에서 필요한 정책을 총괄·조정한다. 각 부처별 청년대상 정책을 모으고, 지역별 특수성을 반영한 균형적 정책도 찾는다는 계획이다. 국가 차원의 중장기 로드맵을 수립하고,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간 정책도 조정한다.
청와대에선 시민사회수석실 내에 청년정책관실을 신설하기로 했다. 청년정책관실에선 대통령과의 소통과 총리실·당과의 소통 등의 역할을 맡는다. 청와대 청년 담당 비서관은 가급적 만 34세 이하가 맡는 것으로 고민하고 있다. 김병관 의원은 "당에선 청년의 나이가 45세로 돼 있지만, 청년기본법은 34세로 의견을 모았다"며 "가급적 34세 이하가 (비서관을) 맡는 것으로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