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Fun&Joy>사주

[김상회의 사주속으로] 우주와 나



우주의 역사와 관련한 어느 인터뷰 글에서 본 걸로 기억한다. 우주라는 광활한 공간에는 제2의 지구가 아니라 제2, 제3의 은하계가 수백 수천 개 이상이 될 거라 한다.

현재 허브망원경으로 만난 우주의 수만 하더라도 인간이 감지한 수 이상일거란 가설은 이제는 더 이상 가설이 아닐 것이라는 말이다. 우주라는 실체는 인간의 상상이 미칠 수 없는 곳까지 펼쳐져 있음은 물론 얼마 전에도 언급했던 것처럼 블랙홀이라는 우주 탄생의 실상에 대한 아인슈타인의 가설이 인간의 눈앞에 증명되기까지 했던 것이다.

이렇게 거시적인 관점에서 보자면 상상도 할 수 없을 정도의 광활한 우주 안, 한 톨의 먼지보다 작은 지구라는 행성 안에서 도대체 인간의 삶이란 무어란 말인가. 그러나 법성게(法性偈)를 보자면 '일미진중함시방(一微塵中含十方) 일체진중역여시(一切塵中亦如是)'란 구절이 나오는데 이는 "하나의 작은 티끌 안에 온 세상을 품었고 낱낱의 티끌마다 온 세상이 들어있네." 라는 뜻이다.

그러니 우주가 곧 나요, 나 역시 우주를 품고 있다..라고 해석해도 과하지 않다. 이러한 세계의 광대함을 불경에서는 항하사 모래 수만큼 많은 세계라고 표현한다. 항하라는 것은 인도의 갠지스강을 한문으로 표현한 단어다. 인도를 북부에서 동서로 가로질러 벵골만으로 흘러드는 강으로서 그 길이가 무려 2,460km라 하니 대한민국 서울로부터 부산을 세 번 왕복하고도 남음이 있는 긴 길이의 강이다.

그렇게 긴 갠지즈 강변에는 얼마나 셀 수 없을 정도의 무수한 모래알이 있겠는가. 그럼에도 그 항하수가의 모래알보다 더 많은 세계가 있다고 하는 것이니 이는 숫자로 셀 수 있다는 생각조차 뛰어 넘은 개념이다. 하나하나 미세한 모래알 같은 우리 인간의 삶은 말 그대로 미시적이라 할 수 밖에 없다.

그럼에도 우리는 인간으로 태어난 한 평생을 무던히도 잘살려 애를 쓰는 것이고 그것이 또한 태어난 존재로서의 책임이기도 한 것이다. 우주가 곧 나를 품고 있고 나 역시 우주를 품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의미에서 사주를 안다는 것은 내가 나를 아는데 있어 우주의 원리를 아는데 있어 가장 실질적인 방편이 아닐까 한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