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기 여신금융협회장 자리를 놓고 역대 최다 인원인 10명이 몰리면서 치열한 경쟁이 불가피해졌다. 업계는 민·관 출신과 관계없이 카드업계에 닥친 문제를 해결할 '적임자'가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일각에선 관(官) 출신이 유력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26일 금융권에 따르면 여신금융협회가 지난 15일부터 24일 오후 6시까지 제12대 여신금융협회장 후보를 공모한 결과 총 10명이 입후보 등록서를 냈다. 여신협회 역사상 가장 많은 후보가 지원했다.
정부와 금융당국 등 관 출신으로는 김교식 전 여성가족부 차관과 김주현 전 예금보험공사 사장, 최규연 전 조달청장과 이기연 전 금융감독원 부원장보가 도전장을 냈다.
민간에서는 임유 전 여신금융협회 상무를 비롯해 정수진·정해붕 전 하나카드 사장, 고태순 전 농협캐피탈 사장, 이상진 전 IBK캐피탈 사장 등이 출사표를 던졌다.
신용카드학회장인 이명식 상명대 교수도 지원서류를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종 접수 후보자가 5명 이상이어서 '숏리스트'(압축 후보군)가 도입될 것으로 보인다. 여신협회는 오는 30일 1차 회장후보추천위원회(회추위)를 열어 숏리스트를 작성할 예정이다. 다음 달 7일 회추위에서 숏리스트 대상자를 상대로 면접을 진행해 단독 후보를 결정한다. 최종 선임은 6월 중순 총회에서 회원사 찬반 투표로 진행된다.
일각에서는 관료 출신이 차기 협회장 자리에 오를 것이란 예상이 나온다. 각종 규제 속에서 업계를 대변하기에는 민간 출신 협회장이 한계가 있다는 주장이다.
그동안 여신협회장 자리는 대부분 관료 출신이 맡아왔다. 김덕수 회장은 여신협회장이 상근직으로 바뀐 후 첫 민간출신 협회장이다.
카드업계는 출신과 관계없이 카드수수료 인하 등 산적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적임자'를 원하는 분위기다.
현재 카드사들은 수익성 악화가 불가피한 상황이다. 지난해 11월 금융당국의 '카드수수료 개편 방안'에 따라 수익이 크게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카드수수료는 카드사의 주요 수익원인 만큼 타격이 클 수밖에 없다.
또 대형가맹점과의 수수료 협상에서 난항을 겪고 있는 데다 법정 최고금리 인하, 대출규제, 마케팅 비용 축소 등 규제가 계속되고 있다.
한 카드사 관계자는 "민간 출신이든, 관료 출신이든 업계 입장을 잘 대변할 수 있는 적임자가 필요하다"며 "업계가 살아남을 수 있는 활로를 찾아주는 인물이면 좋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제12대 여신협회장은 6월 15일 임기만료를 앞둔 김덕수 회장에 이어 3년의 임기를 시작하게 된다. 연봉은 약 4억원에 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