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정치>북한/한반도

中시진핑 6월 방한 무산, '北 비핵화 동력' 구상에 적신호?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이른바 '6월 방한'이 무산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한미정상이 구상 중인 '북한 비핵화 동력'에 적신호가 켜진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우리 정부가 6월부터 실행하고자 한 한미-한중 릴레이 외교가 어렵게 된 셈이다. 앞서 시 주석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6월 방한 보도가 나왔고, 북한 비핵화 대화가 이른 시일 내에 재개되는 것 아니냐는 기대감이 팽창했던 바다.

우선 국내 관광업계 관계자는 25일 한 매체와의 인터뷰를 통해 "시 주석의 우리나라 방문이 무산돼 숙소 예약을 취소했다"며 "시 주석의 예약이 취소된 이유는 트럼프 대통령과의 방한 일정이 겹처 무산된 것으로 안다"고 알렸다. 시 주석의 방한에 변동이 없었다면, 중국 정상의 우리나라 방문은 2014년 이후 5년 만의 일이 될 수 있었다.

한중 당국은 시 주석 방한과 관련 다양한 논의를 이어갔다. 그리고 일본 오사카에서 오는 6월28일부터 양일간 열리는 '주요20개국(G20) 정상회의 전 방한'으로 최종 협상에 들어갔던 바다. 방한을 취소한 시 주석과 달리, 청와대가 지난 16일 발표했던 '트럼프 대통령의 6월 말 방한'은 변동이 없는 상황이다.

국제사회 일각에서는 시 주석의 방한 취소와 관련해 다양한 목소리가 나온다. 그중 남북한 및 미국 변수를 모두 고려해야 하는 중국의 고심이 이번 방한 취소에서 드러났다는 게 중론이다. 최근 홍콩 외신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미중 무역전쟁 종결 전 대한민국 방문으로 미국 자극을 일으키지 않는 것, ▲북한보다 대한민국을 먼저 방문해 북한을 섭섭하게 하고 싶지 않은 것 등으로 시 주석 방한 취소를 진단했다.

정계 일각에서도 국제사회가 바라보는 시 주석 방한 취소와 궤를 같이했다.

윤용호 자유한국당 부대변인은 26일 메트로신문과의 통화에서 "우리나라와 북한, 미국과 북한의 비핵화 대화가 진전되지 않은 상황에서 시 주석이 우리나라를 찾는다한들 어떤 성과를 낼 수 있겠나. 시 주석 방한 취소는 이 때문이 아니겠나"라고 했다. 이어 "(또) 국제연합(UN)의 대북제재가 해제되지 않은 상황에서 중국 역시 북한을 지원할 명분을 찾기 어려울 것"이라고 부연했다.

윤 부대변인은 계속해서 "이제 정부 외교 정책에 변화가 불가피하다"며 "미중 정상을 만나기로 한 6월 외교에 차질이 생겼다. 다른 대안을 모색해 시 주석과의 대화 재개는 물론, 북한 비핵화 대화 재개를 위한 신속한 행보가 필요하다"고 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