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이직 횟수, 9년 전보다 30% 증가
올해 1년차 직장인 64.7% 이직 경험… 4~6년차 이직 급증
잡코리아, 직장인 1067명 설문조사
2010년, 2019년 직장인 경력연차별 평균 이직 횟수 /잡코리아
직장인들의 이직 횟수가 9년 전보다 30% 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직장인들은 4~6년차에서 이직 경험이 급격히 증가했고, 올해 10년차 직장인의 경우 평균 4회 이직해 5번째 회사에 다니는 것으로 조사됐다.
27일 잡코리아가 1322명을 대상으로 연차별 이직 경험에 대해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에 따르면, '직장생활을 시작한 이래 1회 이상 이직한 경험이 있는지' 물은 결과 84.6%가 '있다'고 답했다. 성별로 남성(78.0%)보다 여성(88.5%) 이직 경험자가 더 많았다.
특히 경력 1년차 직장인 중에 이직 경험이 있다는 응답자는 과반수를 훌쩍 넘는 64.7%로 나타났다. 이직 경험자 비율은 연차와 비례해 증가했으며, 경력 5년차 이상 직장인 대부분(93.6%)은 이직 경험이 있었다.
경력 연차별 평균 이직 횟수를 보면, 경력 1년차는 1.2회, 경력 2년차는 평균 1.8회였고, 경력 3~5년차의 경우는 평균 2회를 넘었다. 3년차와 4년차 직장인 이직 횟수는 평균 2.2회였고, 5년차 직장인은 2.7회로 증가했다. 이후 6년차~9년차 직장인 이직 횟수는 평균 3회를 넘었고, 경력 10년차 직장인은 평균 4회 이직했다.
직장인들의 연차별 이직 횟수는 2010년 동일조사와 비교해 연차별로 약 1회 이상 증가했다. 전체 직장인 평균 이직 횟수도 올해 2.6회로 9년 전인 2010년(2.0회)보다 0.6회 증가했다.
이직 결심 이유 1위는 '연봉에 대한 불만족 때문'(47.0%)이었다. 이어 '상사에 대한 불만/불화'(28.0%), '복지제도에 대한 불만'(27.0%) 순으로 나타났다. 경력 연차별 이직 결심 이유는 대체로 유사했으나, 20대의 경우 '연봉 불만족'과 '적성에 맞지 않는 업무', '더 큰 회사에서 일하기 위해'라는 응답이 상대적으로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