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한국당 황교안 대표와 나경원 원내대표는 31일 충남 천안 우정공무원교육원에서 열린 국회의원·당협위원장 연헉회의에서 "투쟁"을 강조했다.
황 대표는 이날 연석회의 인사말을 통해 "아직 상황은 녹록하지 않다"며 "우리의 투쟁은 계속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또 "국민의 목소리를 더 간절하게 듣는 걸음은 계속될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18일간 실시한 민생투쟁 대장정은 국민의 생생한 아픔·절규를 들을 수 있는 시간이었다는 게 황 대표 설명이다.
다만 국회는 한국당의 장외투쟁으로 지난 1·2월에 이어 4월부터 가동이 또 멈춘 상태다. 20대 국회 계류 법안은 올 5월 들어 1만4000건을 넘어섰다.
나 원내대표는 얼어붙은 정국에 대한 책임을 더불어민주당과 청와대에 돌렸다.
나 원내대표는 황 대표와 같은 자리에서 청와대와 여당을 겨냥해 "대통령부터 시작해 우리 야당을 궤멸의 대상으로 보고 있다"며 "논의와 토론의 대상으로 보지 않고 궤멸시키려 하는 여당과 목숨 걸고 투쟁해야 한다"고 알렸다.
나 원내대표는 그러면서 "우리 당은 줄곧 '신속처리안건(패스트 트랙)' 강행에 대해 사과하고, 철회하라고 요구했다"며 "하지만 대통령부터 시작해 일사분란하게 공격만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민주당을 향해선 "땡깡부릴 생각 그만하라"며 "패스트 트랙을 강행해놓고 여당은 아직도 '잘못한 것은 없다, 6월 국회를 열어야 하니 국회 본회의 소집을 내야겠다'는 말로 잘못한 것 없다고 땡깡쓰고 있다"고 질타했다.
나 원내대표는 "(민주당의) 이런 땡깡에도 국회에 그냥 들어가는 것은 굴복하고 백기투항하라는 것인데 그렇게 할 수 있겠느냐"고 국회 보이콧 이유를 설명했다. 또 여당을 겨냥하며 "집권을 했으나 철부지 '집권야당'의 모습을 갖고 있다"며 "계속해서 철부지처럼 구는 여당은 국정에 대해 책임의식을 갖고 야당과 협의하라"고 요구했다.
나 원내대표는 "민주적으로 국회를 이끌겠다는 진정한 자세를 보이지 않으면 우리는 국회에 들어갈 수가 없다"고 못박았다. 민주당이 국회 정상화에 대해 말로만 정상화를 얘기하고, 실질적으로는 한국당에 온갖 고정관념을 씌운다는 게 나 원내대표 설명이다.
나 원내대표는 예로 정부가 지난 4월 국회에 제출한 6조7000억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을 꼽았다. 나 원내대표는 "(당정이) '추경안이 통과되지 않아 나라 경제가 어렵다, 추경이 통과 안 돼 산불피해 구제가 되지 않는다'고 한다"면서도 "추경에는 산불피해 주민에게 가는 예산은 한 푼도 없다"고 전했다. 또 이낙연 국무총리를 지목하며 "강원도 산불피해 현장에 가서 깨알 메모하는 행위(코스프레)만 하고 있다"고 비꼬았다.
나 원내대표는 마지막으로 "장외투쟁과 국회투쟁을 함께 해준 연대감으로 더 굳건히 해서 이번 투쟁을 이기고 총선승리로 갈 수 있다"며 "우린 얼토당토 않는 누명으로 고생하고 있지만, 무능정권을 그냥 둬선 안된다"고 강조했다. 어떻게든 문재인 정부를 심판하는 것이 한국당의 역사적 사명이라는 입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