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S·유튜브 정치' 팬덤 확보로 인기
일각선 "SNS, 일방적 주장" 역기능 우려
지지층 확보를 위한 정치권의 '인터넷 방송' 활동이 갈수록 뜨거워지는 모양새다.
유시민 노무현재단 이사장과 홍준표 전 자유한국당 대표는 3일 오후 10시 유튜브를 통해 자유 토론을 펼친다.
유 이사장과 홍 전 대표는 이날 차기 유력 대선주자이자, 진보-보수진영의 대표 논객으로서 문재인 정부의 대북·경제 정책 등 각종 현안에 대해 격론을 벌일 예정이다. 별도의 원고 없이 진행하는 이번 방송은 유 이사장 측이 홍 전 대표에 제안해 성사했다.
1인 미디어 정치는 꾸준히 이어지는 추세다. 김문수 전 경기도지사와 이언주 무소속 의원, 박용진 더불어민주당 의원, 전희경 자유한국당 의원 등의 인터넷 방송이 대표적이며, 이들 방송은 구독자도 꾸준히 늘고 있다. 김 전 지사 방송은 지난 3월 구독자 58만명을 기록했고, 이 의원의 경우 현재 22만명의 구독자를 확보 중이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활용한 실시간 방송도 눈길을 끈다. 일부 국회의원은 의정활동 현장이나 화제가 되는 현안에 대해 페이스북 등을 통해 실시간 방송에 나선다. 일례로 지상욱 바른미래당 의원 등은 지난 4월 여야 4당(민주당·바른미래·민주평화당·정의당)의 선거제도·사법제도 '신속처리안건(패스트 트랙)' 지정 강행 당시 사법개혁특별위원회 의결 현장 등을 실시간 방송하기도 했다.
이른바 'SNS 정치'는 정치인에게 순식간의 '팬덤(특정 인물이나 분야를 열정적으로 좋아하는 사람)' 현상을 일으키는 매력적 요소로 작용하지만, 일각에서는 소통 없는 일방적 주장 등 역기능을 우려한다. 또 이같은 역기능이 국회 정상화에도 제동을 걸 수 있다는 지적이다.
현재 여야는 지난 1·2월에 이어 4·5월도 임시국회 의사일정을 협의하지 못했다. 국회는 멈췄지만, SNS는 여전히 자극적인 안건 등으로 이목을 끈다. 실제 일부 국회의원 SNS는 상대·특정 정당 비판이나 폭로전으로 이어지는 양상을 보이기도 했다. 심재철 한국당 의원과 유시민 이사장의 '서울의 봄' 진술 공방 등이 그 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