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열린 '금융 빅데이터 인프라 오픈행사'에서 최종구 금융위원장이 축사를 하고 있다/금융위원회
"빅데이터 인프라 개방은 금융 이력이 부족했던 계층도 금융을 이용할 수 있게 만든다. 데이터를 활용해 생산적, 포용적 금융을 실현하겠다."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3일 '금융 빅데이터 인프라' 오픈 행사에 참석해 이 같이 밝혔다.
그는 "사람과 사물이 이어지는 초연결사회의 흐름 속에서 '데이터'의 중요성은 지속적으로 부각되고 있다"며 "데이터 개방시스템, 데이터 전문기관 등을 통해 데이터 개방을 앞당겨 금융취약계층에 대한 생산적, 포용적 금융을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최 위원장은 데이터 개방이 금융취약계층의 지급결제, 대출 신용평가 등에 영향미칠 수 있다고 내다봤다. 그는 "기존의 금융데이터 위주의 신용평가로 인해 금융 이력이 부족했던 사회초년생, 주부도 더 낮은 금리로 금융을 이용할 수 있게된다"며 "카드결제, 매출데이터 등 다양한 데이터가 활용되면 소상공인, 자영업자의 상권분석과 함께 사업의 성장성도 인정받아 필요한 자금을 지원받을 수 있게 된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최 위원장은 금융 빅데이터 개방시스템을 마련해 은행 카드 보험 등 금융권에 축적된 데이터를 개방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금융분야 데이터는 정형화된 소비패턴과 위험 성향 등 개인의 특성을 정확하게 보여주고 있어 연구기관, 핀테크 기업 등의 수요가 많았지만 데이터 접근이 어려워 이용하지 못했다"며 "안전하게 비식별 조치된 데이터와 분석시스템을 제공해 인공지능 산업을 비롯한 데이터 기반 산업의 성장을 돕겠다"고 말했다.
최 위원장은 산업간 데이터 결합을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데이터 전문기관을 지정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데이터 전문기관을 통해 다른분야간 데이터를 결합해 활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며 "데이터 거래소 서비스와 연계해 데이터 결합과 중개 유통 서비스를 한 번에 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다만 최위원장은 "데이터 개방을 통한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선 정보보호, 보안이 우선돼야 한다"며 "금융보안원을 통해 금융·ICT·유통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생성된 데이터가 안전하게 유통될 수 있도록 데이터 거래과정 전반을 지원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