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민간 상업시설에서 적정 실내온도를 준수하는 것에 대한 시민 의견을 수렴한 결과 전체 응답자의 83%가 찬성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민주주의 서울 홈페이지 갈무리
공공기관이 아닌 민간 건물에서도 여름철 적정 실내온도를 지켜야 할까. 서울 시민들은 민간 상업시설에서도 에어컨 온도를 26도 이상으로 맞춰야 한다는 의견에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일 서울시에 따르면 시민 10명 중 8명은 '민간 건물에서도 적정 실내온도를 준수해야 한다'는 의견에 찬성했다. 한국에너지공단이 권장하는 여름철 실내 적정온도는 26도 이상이다.
서울시는 지난 4월 30일부터 5월 29일까지 정책 참여 플랫폼 '민주주의 서울'에서 민간 상업시설 적정 실내온도 지키기에 대한 시민 의견을 물었다.
민주주의 서울은 시민이 직접 정책을 제안하고 투표, 결정하는 온라인 플랫폼으로 지난 2017년부터 운영돼왔다.
조사 결과 전체 응답자 672명 중 561명(83%)이 '민간 건물에서도 적정 실내온도를 준수해야 한다'고 했다. 반대는 97명(14%), 기타는 14명(3%)으로 집계됐다.
시민 이모 씨는 "여름철에 카디건을 챙겨서 극장이나 카페에 가는 건 진짜 아닌 것 같다"며 찬성 의견을 밝혔다. 안모 씨는 "여름철 명동이나 강남, 홍대 등 상업시설이 모인 지역에 가 보면 에어컨을 빵빵하게 틀어 놓고 문을 죄다 열어놓고 있다"며 "그 앞을 지나가기만 해도 시원한 냉기가 느껴질 정도다. 에너지 낭비가 심하다"며 의견을 보탰다.
설문에 참여한 윤희수(가명) 씨는 "강압적인 온도 낮추기 정책을 시행하면 그에 따른 부작용이 발생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또 다른 반대 의견으로는 "지역마다 온도가 다 다른데 똑같은 온도로 통일시킨다는 건 상황과 맞지 않다", "사람들은 집이 더워서 피서차 식당에 간다. 적정온도를 지키면 손님이 줄어들 것이다", "집안 전기 사용량에 대해 누진세를 부과하기 때문에 더위를 피하려고 상업시설을 찾는 것이다. 시민이 열병에 걸려 죽지 않을 수 있는 최소한의 생활 환경을 만들어 달라", "일하는 사람, 이용하는 사람의 입장을 모두 생각해야 한다" 등이 있었다.
한국전력거래소에 의하면 여름철 최대전력 대비 냉방으로 인한 전기 부하는 2004년 20%를 돌파한 이래 2015년 24.5%, 2017년 28.3%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특히 작년 여름은 111년 기상관측 사상 최악의 폭염으로 더 높아졌을 가능성이 크다.
시는 상업시설에서도 적정 실내온도를 지키면 에너지 절약과 온실가스 감축이라는 1석 2조의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한다.
한편 시민들은 여름철 실내 적정온도를 기존 26도 이상에서 약간 낮춰 자발적 참여 유도하기, 일괄 적용 대신 적정온도를 지키는 민간 시설에 에코 포인트 지급하기 등 다양한 대안을 내놨다.
서울시 관계자는 "민주주의 서울을 통해 '상업시설 적정 실내온도 준수'에 대한 시민 의견을 들어봤고, 이를 정책에 어떻게 반영할 것인지를 고민하는 단계"라며 "시민 여론을 분석해 핵심 키워드 등 의미 있는 것들을 뽑아 소관 부서에 전달할 예정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