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은 전자공시시스템(DART) 공시정보의 오픈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 서비스를 확대한다고 11일 밝혔다. 올해 말까지 추진해 내년 1월부터 정식으로 서비스할 예정이다.
DART는 공공데이터 이용 활성화 등을 위해 지난 2013년 8월부터 공시정보를 누구나 제한 없이 활용 가능한 오픈API 서비스를 제공해 왔다.
금감원은 오픈API 정보제공 범위를 현재 기업개황 및 공시 목록에서 세부 공시 내용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전체 공시서류는 공시 이용자가 DART 홈페이지에 방문하지 않고도 원하는 공시서류 원본파일을 다운로드 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정기공시로는 사업보고서 및 분·반기보고서 상에서 공시이용자들이 주로 관심 갖는 12종의 정보를 쉽게 활용 가능한 형식으로 제공한다. 12종은 ▲증자(감자)현황 ▲배당에 관한 사항 ▲자기주식 취득 및 처분현황 ▲최대주주현황 ▲최대주주 변동현황 ▲소액주주현황 ▲임원현황 ▲직원현황 ▲이사·감사의 개인별 보수현황 ▲이사·감사 전체의 보수현황 ▲개인별 보수지급 금액 ▲타법인 출자현황 등이다.
지분공시는 지분보고서 상의 대표보고자의 보유주식내역 및 증감내역, 임원·주요주주 소유상황내역을 쉽게 활용 가능한 형식으로 제공한다.
재무정보로는 상장회사 재무제표를 이용자의 이용 목적에 맞게 다양한 형태(XML, XBRL, TXT 등)로 활용 및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이와 함께 오픈API, 공시정보 활용마당 등 DART 공시정보 개방서비스를 위한 전용 홈페이지도 구축할 예정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공시정보 오픈API 서비스를 활용, 민간부문에서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결합해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며 "일반투자자에서 연구·투자분석 기관까지 공시정보를 쉽고 빠르게 활용할 수 있어 공시정보에 기반한 합리적인 투자문화 정착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