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DS부문 종합기술원 부원장 황성우 부사장이 NPU 관련 설명을 하고 있다. /삼성전자
삼성전자가 반도체비전 2030을 본격화한다. 핵심 무기는 신경망처리장치(NPU·Neural Processing Unit), 인공지능(AI) 시대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반도체 업계 1위를 차지하겠다는 포부가 구체적으로 드러난 것으로 분석된다.
삼성전자는 18일 서울 태평로빌딩에서 NPU를 AI 시대를 선도할 핵심 기술로 선정하고 집중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2030년까지 NPU 분야 인력을 10배 많은 2000명 규모로 확대하고 차세대 NPU 기술 개발을 위해 전사적인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다.
삼성 추정에 따르면 NPU는 CPU나 GPU보다 수백에서 수천배 이상 더 빠른 연산 처리가 가능하다. 클라우드 서버를 통하지 않아도 기계 자체에서 AI를 구현할 수 있다는 얘기다. 이른바 '온 디바이스 AI'다.
NPU는 AI의 핵심인 딥러닝 알고리즘 연산에 최적화된 프로세서로 알려져 있다. 딥러닝에는 수천 개 이상의 연산을 동시에 처리해야 하는 병렬 컴퓨팅 기술이 필요한데, NPU는 이 같은 대규모 병렬 연산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어 AI 구현을 위한 핵심 기술로 꼽히고 있다.
삼성전자는 2012년 처음 NPU를 개발하기 시작해 지난해 1세대 NPU를 탑재한 엑시노스 9610과 엑시노스9820을 출시하며 시장에 진출한 상태다. 아우디에 공급키로한 엑시노스 오토 V9에도 NPU를 탑재했다.
올해 2세대 NPU와 전장용 제품을 새로 내놓고 3세대 NPU 개발에도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추후에는 사람 두뇌 수준으로 연산하는 뉴로모픽 프로세서로 진화하는 계획까지 수립했다.
삼성전자 시스템 LSI사업부 강인엽 사장은 "딥러닝 알고리즘의 핵심인 NPU 사업 강화를 통해 앞으로 다가올 AI 시대에서 주도권을 잡겠다"며 "향후 차별화된 기술과 글로벌 기관들과의 협력, 핵심 인재 영입 등을 통해 한 차원 더 진화된 혁신적인 프로세서를 선보일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