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우리나라의 대(對)미국 경상수지 흑자규모가 6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원자재 등의 수입 증가로 상품수지 흑자규모가 축소한 영향이다. 반면 대동남아는 역대 최대 흑자를 기록했다.
21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8년 중 지역별 국제수지(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의 경상수지 흑자규모는 2017년 752억3000만달러에서 2018년 764억1000만달러로 확대됐다.
같은 기간 대미 경상수지 흑자는 249억7000만달러에서 247억1000만달러로 소폭 감소했다. 흑자규모는 2012년(181억4000만달러) 이후 6년 만에 최소 수준이다.
한은 관계자는 "운송, 여행 등을 중심으로 한 서비스수지 개선에도 불구하고 원자재 등의 수입 증가로 상품수지 흑자규모가 축소했다"고 설명했다.
대중국 경상수지 흑자는 2017년 401억1000만달러에서 2018년 491억3000만달러로 5년 만에 확대로 전환했다. 반도체와 석유제품을 위주로 한 수출 증가로 상품수지 흑자규모가 확대된 데다 여행수지가 개선되는 등 서비스수지가 흑자로 전환한 영향이 컸다.
같은 기간 대일본 경상수지는 적자규모가 287억4000만달러에서 242억9000억달러로 줄었다. 석유제품, 화공품 등의 수출 증가로 상품수지 적자규모가 축소된 영향이다.
유럽연합(EU)에 대한 경상수지 적자는 108억9000만달러에서 107억8000만달러로 소폭 축소됐다. 배당 지급 등으로 본원소득수지 적자폭이 확대됐으나 기계류·정밀기기, 화공품 등의 수출 증가로 상품수지 흑자규모가 확대됐기 때문이다.
대동남아 경상수지 흑자는 174억000만달러 증가한 934억8000만달러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반도체, 석유제품 등의 수출 증가로 상품수지 흑자규모 확대된 영향을 받았다.
이밖에 중동에 대한 경상수지는 620억8000만달러 적자, 중남미의 경우 82억2000만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한편 지난해 내국인의 해외직접투자는 389억2000만달러로 증가폭이 확대됐다. 미국(88억6000만달러)은 증가폭이 줄고 중국(63억달러), EU(75억3000만달러), 중남미(46억6000만달러)는 늘었다.
외국인의 국내직접투자는 144억8000만달러로 증가폭이 축소됐다. EU(67억3000만달러)와 동남아(18억7000만달러)는 증가폭이 줄고 미국(-11억3000만달러)는 감소로 전환했다.
내국인의 해외증권투자는 649억9000만달러이며 외국인의 국내증권투자는 211억1000만달러를 기록했다. 파생금융상품은 13억1000억달러 적자로 전년에 비해서는 감소폭이 줄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