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 국정수행 지지율이 '북한 목선의 삼척항 입항' 논란으로 인해 하락했다는 여론조사가 나왔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는 YTN 의뢰로 지난 17일부터 21일까지 전국 성인남녀 2506명을 대상으로 '6월 3주차 대통령 국정수행 주간집계(95% 신뢰 수준·표본오차 ±2.0%p·응답률 5.4%)'를 조사해 24일 발표했다.
그 결과, 문 대통령 지지율(긍정평가)은 전주 대비 2.8%p 하락한 46.7%, 부정평가는 2.9%p 상승한 48.3%다.
문 대통령의 지지율이 하락한 데 대해 정계에서는 다양한 분석이 나온다. 그중 북한 목선의 삼척항 입항 논란이 장기화된 데 따른 것 아니냐는 게 중론이다. 북한 목선 논란의 발단은 이렇다. 4명의 선원을 태운 북한 어선(소형목선)이 북방한계선(NLL)을 넘어 우리쪽 해상으로 지난 12일 진입했다. 어선은 우리 해군의 작전 책임구역 안까지 진입했다. 다만 우리 해군은 이 어선을 발견하지 못했다. 결국 어선은 지난 15일 강원도 삼척항에 들어와 상륙했다. 이때까지 우리 해군, 그리고 해경은 이러한 사실을 인지하지 못했다. 북한 선원들은 삼척항 인근에서 주민들에게 휴대전화를 빌려달라는 말을 했고, 이를 본 한 주민의 신고를 통해 군경은 사건을 인지할 수 있었다.
문제는 여기서 그치지 않았다. 국방부의 지난 17일 관련 브리핑이 그렇다. 국방부는 북한 목선 논란 관련 브리핑을 '사건 발생 후 이틀이 지나서' 처음 진행했다. 게다가 국방부는 북한 목선 출항지와 발견지점 등 중요부분에서의 사실관계조차 해경의 발표와 궤를 달리 했다. 그뿐인가. 윤도한 청와대 국민소통수석비서관은 지난 21일 "(북한 목선 논란 관련) 4명이 넘어왔을 때 그러한 보도가 나가면 안 된다"며 "만일 그들이 모두 귀순 의사를 가지고 넘어왔다면, 또 그것이 보도됐다면 남북관계가 굉장히 경색될 수 있다"고 했다.
즉 정부가 북한 어선에 대한 경게를 실패한 셈이다. 그래선지 야권에서는 질타가 쇄도했다. 이종철 바른미래당 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정부여당은 이번 사태를 어물쩍 넘어가려 해서는 안 된다. 국무총리와 국방부 장관의 적당한 사과로 넘어갈 상황이 아니다"라면서 "대통령이 직접 해명해야 하며, 국방부 장관은 즉각 경질해야 한다"고 했다. 이어 "국민들은 '동해가 뚫렸다'는 사실도 충격이지만, 더욱 더 심각한 사안은 '국민들이 속았다'는 사실"이라며 "군이 은폐를 했든 누가 했든 국민들은 왜 이렇게 되었는지 사실 관계를 낱낱이 밝혀야 한다"고 부연했다.
한편 정당 지지율을 살펴보면, '집권당' 더불어민주당 지지율은 전주 대비 3.0%p 하락한 38.0%를, '제1야당' 자유한국당 역시 전주 대비 1.0p 하락한 30.0%를 각각 기록했다.
자세한 조사개요와 결과는 리얼미터 홈페이지 또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