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인의 기본적인 과제인 건강문제만 제외한다면 모든 이들의 마음을 사로잡고 있는 것은 재물에 관한 것이리라. 세계적으로 상술이 뛰어난 아라비아의 상인과 인도 그리고 중국의 상인들이 전통적으로 경영수완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래서인가 중국은 역사적으로 저명했던 거부나 부호의 전신상을 조성하여 사당에 모셔놓고 재신(財神)으로 추앙하여 모시는 곳이 많이 있다. 중국의 불가에서 유명한 포대화상(布袋和尙)도 중국의 방방곡곡의 절 입구나 마당에 조성돼 있음은 물론 한국 절에도 전해져 곳곳의 절에서 볼 수 있다.
포대화상에게 빌면 특히 재물 복을 얻을 수 있다고 믿어져 온 까닭이다. 설에 의하면 외모는 몸은 비만하여 배가 불룩 튀어나왔을 뿐 아니라 긴 눈썹을 휘날리며 옷매무새 역시 포대 하나를 걸치고 일정한 거처가 없이 떠돌아 다녔던 것이다.
때로는 술에 취한 듯이 보이기도 했으며 조각상에서도 보듯 항상 큰 웃음을 웃는 상으로 어떤 때에는 감히 출가 승려라고 보기 어려운 매무새이다. 그러나 미륵보살(彌勒菩薩)의 화신이라고도 칭해지는 것을 보면 분명 겉 매무새와는 달리 어려운 중생의 병을 고쳐주거나 여러 소원을 들어주며 돌봐주기도 했던 것이니 분명 신통을 이룬 보살도를 행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한 포대화상의 명성이 해동에까지 전해져 역시 중국처럼 우리나라의 절 입구나 절 마당에서도 친근하게 뵐 수가 있게 된 것이다. 마음자리를 깨달아 육도윤회를 벗어나는 진리의 길을 성취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지만 세속의 삶을 살아가는데 온갖 노고와 애환이 많은 중생들을 어루만져 당장 배고프고 아픈 고통으로부터 벗어나게 해주는 것이 급선무 아니었겠는가.
물에 빠진 사람은 우선 뭍으로 꺼내주어야 하듯 말이다. 지금 시대야 절대적인 배곯음으로부터는 벗어낫다고 할지라도 사실 예나 지금이나 부의 불평등은 계속되고 있다. 그렇다고 보면 포대화상의 역할이 끝난 것이 아니다.
서민들의 삶을 어루만지는 포대화상이 모습만 달리할 뿐 아직도 우리 사회 곳곳에 함께 하고 있다고 믿고 있다. 팍팍한 삶에 다시 살아갈 힘을 주는 이들, 그들이 바로 오늘날의 포대화상이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