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직자 절반 "불공정한 채용 경험 있어"… '내정자 있는 듯한 채용'
사람인, 구직자 627명 설문조사
구직자 52% "불공정한 채용 경험 있어" /사람인
공공기관과 대기업을 중심으로 스펙을 보지 않는 블라인드 채용이 확대되고, 직무와 채용전형에 대해 상세히 기재하는 등 채용 공정성을 강화하려는 노력이 지속되고 있으나, 구직자 상당수는 여전히 채용 과정이 불공정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사람인이 구직자 627명을 대상으로 '불공정한 채용 경험 여부'를 물은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절반이 넘는 51.7%가 '불공정한 채용을 경험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 이런 답변은 성별로 여성(55.2%)이 남성(48.7%)보다 6.5%포인트 높았다.
불공정하다고 느낀 이유(복수응답)에 대해서는 '내정자가 있는 듯한 채용 진행'(50.9%)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가족관계/학벌 등 직무와 관련없는 질문을 함'(39.8%), '근무조건 기재가 불분명함'(33.3%), '면접에서 특정 지원자에게만 질문 몰림'(33.3%), '채용공고 내용이 도중에 바뀜'(21.3%), '나보다 스펙과 역량이 떨어지는 사람이 합격합'(19.4%), '특정 지원자에게 특혜 소문 들음'(13.9%) 등을 들었다.
불공정함을 느낀 전형단계(복수응답)는 '서류전형'(57.4%)이 가장 많았고, 이어 '실무면접'(43.5%), '임원면접'(25%), '연봉협상'(19.4%), '인적성 및 필기전형'(9.3%)의 순이었다. 서류전형에서는 '나이'(60.2%, 복수응답)를 첫번째로 꼽았고, '학벌'·'가족직업'(각 45.4%), '최종학력'(41.7%), '보유재산'(35.2%), '주량, 흡연 등 개인 신상'(34.3%), '성별'(31.5%), '신체사항'(27.8%) 등이었다. 면접 전형 역시 '나이 관련 질문'(63.9%)이 1위를 차지했으며, '결혼, 출산 계획 관련 질문'(49.1%), '부모님, 가족 관련 질문'(39.8%), '외모, 신체 관련 질문'(38.9%), '회사 지인 여부'(37%), '종교, 정치성향 등 가치관 관련 질문'(36.1%) 등의 질문으로 불공정함을 느꼈다고 답했다.
특히 채용 과정 상 불공정함을 경험했다는 구직자 중 75.9%는 '실력이 아닌 불공정한 평가 때문에 자신이 탈락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거와 비교해 최근 채용 과정의 공정성에 대해서는 '비슷하다'(46.7%)는 의견이 가장 많았지만 '더 불공정해지고 있다'(33.6%)는 응답이 '공정해지고 있다'(19.7%)라는 답변보다 13.9%포인트 높았다.
구직자들은 공정한 채용이 이뤄지기 위해 가장 필요한 것으로 '평가기준 공개'(24.9%), '블라인드 채용 도입'(21.5%), '개인신상 등 불필요한 기재항목 삭제'(17.2%), '공고에 상세한 직무내용 기재'(12%), '청탁 관련 규제 강화'(7.7%), '필기시험 등 객관적 전형 실시'(7.2%) 등을 꼽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