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한양행이 베링거인겔하임과 1조원 규모의 기술수출 계약을 맺었다. 지난해 말 미국 얀센에 1조4000억원 규모 기술수출을 한 이후 7개월여 만에 맺은 두번째 연구개발(R&D) 성과다.
유한양행과 베링거인겔하임은 비알콜성 지방간염(NASH) 및 관련 간질환 치료를 위한 혁신 신약개발 공동개발 및 라이선스 계약을 맺었다고 1일 밝혔다.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은 술을 마시지 않는데도 간에 지방이 축적돼 염증으로 발전하고 최종적으로 다수 환자에게 간섬유증과 간경변을 일으키는 병이다. 비만 환자와 당뇨병 환자에게 발병할 확률이 높지만 아직까지 마땅한 치료제 없다.
이번 계약에 따라 유한양행과 베링거인겔하임은 내장에서 생성되는 호르몬인 GLP-1과 FGF21 등 두 가지에 결합해 효과를 내는 이중작용제(dual agonist) NASH 혁신 신약을 공동 개발한다. 유한양행은 계약금으로 반환의무가 없는 4000만 달러를 먼저 수령하고, 마일스톤(단계별 기술료)으로 최대 8억3000만 달러를 수령하게 된다. 상업화 이후에는 순매출액에 따른 로열티(경상 기술료)도 기대할 수 있다.
회사측은 비만 및 NASH에 대한 유한양행의 전문성과 심혈관대사질환 환자를 위한 혁신 의약품을 제공하는 베링거인겔하임의 전문성이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베링거인겔하임은 NASH의 특징 하나만을 표적화하는 방법으로는 중증의 NASH 환자에서 완화 효과를 달성하기 어렵다고 판단하고 있다. 이에 따라 베링거인겔하임은 지방증, 염증 및 섬유증이라는 NASH의 3가지 핵심 요인을 모두 표적화하는 차세대 치료방법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유한양행의 신약 후보 물질의 전임상 연구 결과, GLP-1과 FGF21이 결합하는 경우 높은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GLP1R·FGF21R 이중작용제는 지방간염 해소 및 직접적 항섬유화 효과를 일으켜 간세포 손상과 간 염증을 감소시켰다. 이번 기술수출을 통해 베링거인겔하임은 기존 NASH 관련 연구를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유한양행 이정희 사장은 "유한양행은 심혈관대사질환 환자에 대한 새로운 치료법을 다수 보유하고 있는 베링거인겔하임과 함께 협력하게 되어 기대가 크다"며 "유한양행이 자체 개발한 본 물질은 제넥신의 기술이 접목된 융합단백질로, 바이오 의약품 관련 타사와의 첫번째 사업 협력이기도 하다"고 평가했다.
유한양행은 지난해 7월 미국 스파인바이오파마와 퇴행성 디스크 치료제에 대한 2400억원 규모 기술 수출 계약을 맺은데 이어 11월에는 미국 얀센바이오텍과 12억5500만 달러(1조4000억원) 규모, 표적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기술 수출 성과를 올렸다. 올해 1월에는 미국 길리어드 사이언스와 비알콜성 지방간염(NASH) 치료제에 대한 7850만 달러(8800억원) 규모 기술수출 계약을 맺은 바 있다.
회사측은 지난 1월 기술수출한 NASH 치료제는 케미컬 의약품이며 이번 기술 수출건은 바이오 의약품으로 종류가 다르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