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철(6~8월) 우천 시 사고 증가율 비교. /현대해상
비 내리는 날의 교통사고 발생 빈도가 비가 내리지 않은 날에 비해 1.2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비 내리는 날 야간(20시~5시)의 교통사고 위험도는 평소 야간 대비 1.5배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현대해상이 1일 발표한 '장마철 교통사고 특성분석'에 따르면 우천 시 빗길 미끄럼 사고는 비가 오지 않을 때보다 1.7배, 고속도로에서는 2.4배까지 증가했다. 빗길 미끄럼 사고의 치사율은 일반 교통사고 대비 3.1배, 중상자 발생률은 1.8배 높았다.
김태호 현대해상 교통기후환경연구소 박사는 "빗길에서 과속 운전 시 타이어와 노면 사이에 수막현상이 발생해 미끄럼 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빗길 운전 시에는 제한 속도보다 20% 이상 속도를 줄이고 차간거리는 평소 대비 1.5배 이상 유지한다"며 "제동 시에는 브레이크를 여러 번 나누어 밟는 것이 안전하다"고 강조했다.
또 "장마철에는 타이어 상태를 수시점검하고 마모된 경우에는 미리 교체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공기압을 10% 정도 올려주면 노면과의 마찰력이 높아져 수막현상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한편 연구소는 2012년부터 2018년까지 7년 동안 서울에서 발생한 차량 침수사고를 분석한 결과 차량 침수사고의 80.3%가 시간당 35mm 이상일 때 발생했다. 강수량 35mm 이상일 때의 침수사고 위험도는 그 이하일 때보다 41.7배가 높았다.
차량 침수사고는 서울시 내에서 전반적으로 지대가 낮은 강남, 서초구에서 46.0%가 발생했다.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시간대는 퇴근 직후(20~22시)에 15.3%, 출근 직전(6~8시)에 12.5%로 나타났다.
김태호 박사는 "빗길 교통사고와 차량 침수사고는 조금만 관심을 기울이고 대응하면 예방할 수 있는 경우가 많다"며 "앞으로도 사고 분석자료 제공, 관련 시스템 개발 등을 통해 교통사고 예방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