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축제도시 서울'을 만들기 위한 축제정책과 비전을 수립하는 컨트롤타워, '서울시 축제위원회'(이하 축제위원회)를 전격 가동한다.
2일 시에 따르면 축제분야 민간전문가, 시 공무원, 시의원 등 20명 내외로 된 '축제위원회'를 꾸려 이달 중 위촉식을 갖고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간다. 오는 9월 '서울시 축제 지원 및 육성에 관한 조례'를 제정할 예정이다.
그동안 서울시 축제는 각 실·본부·국별로 독자적으로 추진돼 콘텐츠와 시기, 장소가 중복되는 문제가 있었고 차별성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제기돼왔다. 시에서 직접 개최하거나 행정·재정적으로 지원하는 자치구, 민간 축제는 많지만 국내·외에서 서울을 대표하고 상징할만한 축제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시는 축제위원회를 구성해 서울시 축제정책을 수립하거나 변경할 때 중요한 사항을 심의·협의하는 법정 자문기관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시는 향후 관련 조례에 축제위원회 조항을 포함시켜 법적 구속력을 갖는 의결위원회로 위상을 제고할 방침이다.
축제위원회는 ▲서울시 축제정책의 수립·변경 ▲자치구·민간 축제의 지원·육성 방안 마련 ▲서울시(투자출연기관 포함)에서 추진하는 축제 신설, 통합, 조정, 권고 등의 사항 ▲서울 대표축제 선정 및 관광 자원화 방안 마련 ▲서울 브랜드 음악축제 개발·개최 관련 사항 ▲서울시 축제평가 등을 맡는다.
시는 "시정 4개년 계획 핵심과제인 '글로벌 음악도시 서울 조성'을 달성하기 위한 '브랜드 음악축제 개발·개최 사업'을 리드해 줄 전문가 집단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축제위원회는 위원장 2명(행정 1부시장, 민간전문가 위원), 서울시 소속 당연직 위원 3명(문화본부장, 관광체육국장, 서울문화재단 대표이사),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시의원 2명, 서울연구원 소속 축제분야 연구원 1명, 축제감독·대학교수 등 민간 전문가 4~7명을 포함, 약 20명으로 꾸려진다.
올해 시는 83억원의 예산을 투입, 13건의 축제를 연다. 자치구와 민간 축제(274건)에는 77억원의 시비를 지원할 계획이다.
시는 "서울시의 분산 돼 있는 축제정책 전반에 대한 총괄·조정과 '축제도시 서울 만들기'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축제위원회를 설치해 운영하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