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4당은 3일 자유한국당 이채익·이종배 의원이 경찰청에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 지정) 고소·고발과 관련한 경찰의 수사 자료를 요청한 데 대해 '수사 외압'이라고 한 목소리로 비판했다. 이채익 의원이 "통상적인 상임위원회 활동"이라고 반박한 데 대해서도 "적반하장"이라고 꼬집었다.
이재정 더불어민주당 대변인은 이날 오전 브리핑을 통해 "국회의원의 자료요구 권한은 특권으로 부리며 남용하라고 주어진 것이 아니다"라며 "법과 원칙에 앞서 최소한 상식으로도 납득할 수 없는 행태"라고 비판했다.
이 대변인은 "명백한 외압"이라며 "사상 초유의 동료의원 감금 행위에 대한 한국당 의원들의 경찰 소환 조사를 앞둔 시점에 경찰에 수사 진행상황, 수사 담당자, 수사 대상 명단까지 제출할 것을 요구하는 행위가 외압이 아니면 무엇이겠느냐"고 꼬집었다.
정춘숙 원내대변인도 브리핑을 통해 "수사가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같은 당 소속 의원들이 직접 수사 자료를 요구한 건 피의자의 방어권 보장 차원을 넘어 수사에 대한 압박으로 받아들여질 수밖에 없다"면서 "수사과정에서 국회의원 신분이 아닌 국민의 한 사람으로 당당하게 소환조사에 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바른미래당도 한국당이 외압으로 자신들의 죄를 가리려 한다고 질타했다.
노영관 상근부대변인은 논평을 내고 "채이배 바른미래당 의원의 회의 참석을 막기 위한 한국당 일부 의원들의 불법 점거 행위도 기막힌 노릇인데 설상가상 자신들의 죄를 덮기 위해 물불 못 가리는 행태가 안타까울 뿐"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외압으로 자신들의 죄를 가리려는 한국당의 구시대적 발상과 기득권 의식으로는 한국의 미래를 기대할 수 없다"며 "법 앞에 만인이 평등하다는 만고불변의 진리를 깨려하지 말라. 그만 정신 차리고 오만과 자만의 늪에서 나와 당당히 수사에 응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재두 민주평화당 대변인도 "국회의원의 정상적 업무 범위를 벗어난 외압"이라며 "한 마디로 범죄자가 경찰의 손발을 묶은 꼴"이라고 거세게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