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은행이 지역중소기업과의 밀착관계를 바탕으로 지역 금융업무를 확대하고 있다/각 사
주요 지방은행이 지역 중소기업의 든든한 자금줄 역할을 톡톡히 수행하고 있다. 지역 중소기업의 '우산 역할'을 통해 금융업무 영역을 확대하고 있는 것. 특히 지방은행은 지역경기에 활력을 불어 넣기 위해 중소기업에 자금을 제공하는 한편 긴급자금 제공, 경영컨설팅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일부에선 중소기업 부실이 확산할 경우 지방은행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하지만 각 은행이 부실 정도에 따라 충당금을 쌓고 있어 리스크가 전이될 개연성은 낮다는 분석이다.
7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1분기 5대 지방은행의 중소기업 대출액은 총 79조3336억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77조459억) 대비 2조2877억원 증가했다. 은행별로는 부산은행이 23조3639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대구은행(22조8272억원), 경남은행(17조6148억원)이 뒤를 이었다. 광주은행을 제외한 지방은행 모두가 중소기업 대출을 확대한 셈이다.
먼저 부산은행과 경남은행은 침체된 부울경(부산·울산·경남) 경제에서 중소기업 지원을 강화해 눈길을 끌고 있다.
부산은행은 이달부터 12월까지 썸 인큐베이터(SUM Incubator)를 통해 혁신 창업기업을 지원한다. 금융지원과 비즈니스 멘토링 시스템 등을 통해 지역 창업기업의 성장부터 밀착관계를 형성하겠다는 복안이다.
부산은행 관계자는 "지역의 창업기업이 성장해야 지역경제를 뒷받침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해 시행하게 됐다"며 "창업기업 육성이 투자로 이어질 수 있도록 지원을 꾸준히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경남은행은 창원시와 손잡고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을 지원하고 있다. 창원시는 협력자금 150억원을 지원하고 경남은행은 협력자금의 2배인 300억원을 대출 재원으로 조성했다. 일자리창출기업, 조선사 및 한국GM 협력업체, 소상공인, 수출기업, 스마트공장 등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등이 대상이다.
대구은행도 지역 유망 중소기업을 발굴하는 등 관계형 금융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앞서 지난 1일 대구은행은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18년 하반기 국내은행 관계형 금융 취급실적 평가'에서 중소형은행 부문 1위를 차지했다.
현재 대구은행은 대구 경북지역의 주력산업인 자동차 부품 업종의 상환부담을 줄이기 위해 9439억원의 유동성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분할상환 중이거나 분할상환예정인 대출을 최장 6개월간 유예할 수 있고 신속한 업무처리를 위해 영업점장이 전결로 취급하도록 해 절차를 간소화했다.
특히 대구은행은 관계형 금융이라는 이름으로 업무협약을 체결한 중소기업에 장기대출과 지분투자, 컨설팅을 제공한다. 대구은행 관계자는 "담보는 부족해도 기술력을 인정받은 중소기업에게는 지분투자 등의 기회도 꾸준히 제공하고 있다"며 "지역 경기침체가 폐업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최대한 안정적인 정기자금을 지원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전북은행은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등 지역 기업이 경영 어려움을 겪자 근로자 등을 위한 금융지원에 나서고 있다. 전북은행 관계자는 "최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지원프로그램을 모색하고 있다"며 "업무협약으로 근로자 뿐만 아니라 지역 중소기업지원도 확대해 나갈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