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은행

JB 김기홍 회장 취임 100일… 리더십 능력 시험대 오르나

김기홍 JB금융지주 회장/JB금융



취임 100일을 맞은 김기홍 JB금융 회장의 리더십이 시험대에 올랐다. 내실성장에 초점을 맞춰 경영효율화는 어느 정도 성과를 내고 있지만 지역점유율 회복과 금융감독원의 종합검사까지 여전히 과제가 산적해 있다.

8일 시장조사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JB금융의 2분기 당기순이익 추정치는 963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741억원) 대비 222억원 증가한 수준이다. 이에 따라 상반기 순익은 1938억원으로 지난해(1864억원)보다 4%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실적으로만 보면 취임 100일을 맞은 김기홍호(號)는 일단 안정적이다.

김 회장은 취임 전 기자간담회에서 "배당성향을 대형 금융그룹 수준으로 대폭 끌어올리겠다"며 "내실성장에 초점을 맞추고 배당정책을 확고히 해나가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JB금융 관계자는 "기본에 충실한 내실 위주 경영정책으로 자본비율 조기 충족과 비용 절감 등 경영효율성을 높이는 데 주력하고 있다"며 "핀테크 기업과의 협업 등을 통한 디지털 금융을 확대해 지역 맞춤형 서비스를 늘려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조직개편도 단행했다. 김 회장은 조직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4본부 15부로 운영되던 JB금융을 4본부 10개부로 축소했다. 또 본점 인력 30%를 주계열사인 전북은행과 광주은행으로 발령해 조직을 슬림화했다.

소형점포를 활용한 수도권 진출도 속도를 늦췄다. JB금융의 기반인 광주와 전남 전북에서 영업력을 다지겠다는 포석이다. JB금융은 순천, 여수, 광양 등의 지역을 기반으로 광주은행 1곳을, 전주를 기반으로 만성지구에 전북은행 1곳을 개설할 계획이다.

김 회장은 "다른 대형금융그룹과 달리 수도권 업력이 짧다"며 "수도권에서 성과가 난다고 연고지를 잃어버리면 정체성을 잃어버릴 수 있어, 수도권 진출과 광주 전북을 중심으로 한 지역의 영업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JB금융 2분기 추정 순익/JB금융



◆금감원 종합검사, 김회장의 리더십 능력 판단 잣대될 듯

현재 김 회장이 해결해야 할 과제는 시장점유율 높이기다. 앞서 수도권 소매금융에 집중하면서 기반 지역의 점유율이 하락했기 때문. 전북은행은 여신기준도 권역 내 시장점유율이 6개지방은행중 4위(24.8%)에 그쳤고 광주은행은 20.4%를 차지해 6위를 기록했다.

전북은행은 2017년 말 여신 기준 시장 점유율이 25.2%였지만 지난해 말엔 24.8%로 떨어졌다. 광주은행도 2017년 22.6%에서 2018년엔 20.4%로 하락했다.

JB금융 관계자는 "시장점유율이 낮다는 지적에 따라 지역은행 영업력강화에 주력하고 있다"며 "특히 외국인 노동자가 많은 지역에는 외국인 직원 배치와 외국인 고객 특화상품 등을 개발해 틈새시장을 공략하고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취임 100일만에 맞는 금융감독원의 종합검사도 김회장의 리더십과 능력을 판단할 심판대가 될 것으로 보인다.

앞서 금감원은 2015년 폐지 이후 4년만에 부활한 금융사종합검사 대상의 첫타자로 JB금융을 지목했다.

현재 금감원은 종합검사를 위해 전북에 13명을 1차적으로 보내 현장검사를 진행하고 있다. 8일부터는 2차로 12명이 파견돼 현장 정밀검사에 도입한다.

JB금융 관계자는 "금감원 쪽에서도 관련 자료를 수집하는 검토하는 과정에 있어 특별한 지적은 나오지 않았다"며 "김기홍 회장은 취임 초부터 지역 내 영업 활동 강화에 중요성을 강조했기 때문에 별다른 문제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