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정치>청와대

일본발 '韓수출규제'… 文-재계, '부품국산화·정부의 긴호흡 지원' 모색



문재인 대통령과 자산 10조원 이상 30개 기업, 4개 경제단체가 머리를 맞대고 일본 정부의 수출규제 대책을 모색했다. 그리고 정부와 기업간 긴밀한 협력을 바탕으로 ▲부품산업의 국산화 및 ▲부품산업 국산화에 따른 정부의 긴호흡 지원이라는 공감대를 형성했다.

고민정 청와대 대변인은 10일 오전 청와대에서 열린 '문 대통령과 자산 10조원 이상 30개 기업-4개 경제단체 대표 초청 긴급 간담회' 후 브리핑을 통해 "기업인들은 일본의 수출규제와 관련해 (문 대통령이 밝힌) 단기적-장기적 조치의 필요성에 공감했다"며 "(기업인들은) '중장기적으로 이번 조치가 양국간 경제 협력 등에 도움이 되지 않음을 민간 차원에서도 설득할 것'이라고 말했다"고 이렇게 알렸다.

고 대변인은 "기업인들은 부품 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부품 국산화에 대한 정부 의지에 대해 공감의 뜻을 나타냄과 동시에 장기적 안목과 긴 호흡의 정부 지원을 당부했다"며 "특히 제조업을 뒷받침할 수 있는 '기초산업이 탄탄해야 한다'며 납품업체와 협력 강화를 통해 '해당 산업의 뿌리를 내리는 기회로 삼겠다'고 말했다"고도 했다.

고 대변인은 계속해서 "(기업인들은) 또 수입선 등 조달망 다각화의 중요성을 강조했다"며 "특정 국가의 의존도를 낮추는 노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하고, 특히 화학분야에 있어서는 강점이 있는 러시아·독일과의 협력 확대를 검토할 필요성을 제기했다"고 알렸다.

문 대통령과 재계간 긴급 간담회 때 ▲단기간 내 국내 부품?소재 원천기술 확보를 위해 '전략부품산업의 M&A(인수합병)', ▲미래기술 발굴을 위한 R&D 투자, ▲신규화학물질 생산에 따른 환경규제의 어려움 등에 대한 논의 등이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문 대통령은 이번 긴급 간담회 때 기업인들에게 "최대한 정부가 뒷받침할 테니 대외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주요 기업 간 공동기술 개발, 대?중소기업 간 부품기술 국산화 협력 확대 등을 통해 한국경제가 한 단계 업그레이드되는 계기로 삼아 달라"고 당부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