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산업별 대일 의존도와 우리나라 수출비중. /삼성증권
일본이 반도체에 이어 자동차, 기계까지 수출 제재를 압박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우리 정부가 제3국 중재위원회를 수용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감안, 일본이 추가적인 제재를 통해 한국에 대한 압박 수위를 올릴 가능성이 높다는 것. 대상은 대일 의존도가 높고 우리나라 수출 영향이 큰 산업일 수 있다는 분석이다.
삼성증권은 16일 관세청의 지난해 통계를 분석한 결과 해당 산업의 대일 의존도(전체 수입 중 일본 수입 비중)는 자동차 11.8%, 특수목적기계 32.3%, 일반목적기계가 18.7%를 각각 차지했다. 반도체는 8.3%이고 정밀기기는 19.9%였다.
유승민 삼성증권 연구원은 "첫번째 공격 타깃이 중고위~고위기술산업군 중 한국의 핵심산업인 반도체였다면 다음은 자동차, 기계 등이 우려된다"며 "때문에 한국은행의 금리인하 등 선제적 정책대응의 필요성이 커졌다"고 설명했다.
자동차, 기계 등의 산업들은 반도체에 비해 글로벌 공급사에 미치는 영향도 적어 국제사회의 비판도 피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유 연구원은 "한·일 갈등이 양국 경제 및 산업에 파괴적인 양상까지 악화될 가능성은 낮다고 판단한다"며 "한·일 대립은 글로벌 경제 및 아시아 역내 지역 안보에도 부담이 될 것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번 일을 계기로 양측 모두 과거와 다른 새로운 관계 정립을 목표로 하고 있다는 점은 사태 해결에 오랜 시간이 걸릴 개연성을 내포한다"며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은행의 금리 인하 등 선제적 정책 대응 필요성이 매우 커졌다"고 덧붙였다.
또 그는 "이달 말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보험성 금리 인하 시행이 기정사실화된 상황도 한은의 금리 인하에 명분을 제공하고 있다"며 "정책이 현실화하면 코스피에 대한 하방 경직성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