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군 강감찬함 장병들이 22일 진해군항 전투수영훈련장에서 함정의 가장자리를 묘사한 다이빙대에서 바다에 뛰어들고 있다. 사진=해군
해군 장병들이 뜨거운 열기와 끈적한 습도를 이겨내고 전우와 함정을 살리기 위한 '혹서기(여름) 훈련'에 뛰어들었다.
24 절기상 가장 더운 대서를 하루 앞둔 22일, 강감찬함(4400t급) 장병들은 진해군항에 바다와 같은 환경으로 조성된 전투수영훈련장에서 전투수영훈련에 나섰다. 청해부대 30진으로 아덴만 출항을 앞두고 협동심을 고양하고 개개인의 생존 가능성을 높이고자 마련됐다.
해군 함정은 매년 6월에서 10월 사이 연 1회 이상 전투수영훈련장에서 전투수영훈련을 실시해야 한다. 강감찬함은 오전에 훈련장구 사용법을 교육받고 바다에서 개인수영 숙달을, 오후에는 현측(舷側) 이함 훈련과 팽창식 구명뗏목 종합훈련을 진행한다.
수상함 승조원의 훈련은 선체의 높은 곳에서 바다로 뛰어내리는 비상 이함(비상시 함정 탈출)과 수영 능력을 배양하는 전투수영으로 구성된다.
전투수영훈련에서 장병들은 구명의를 착용하고 함정의 가장자리를 묘사한 다이빙대에서 바다로 뛰어든다. 이어 함정에서 투하한 팽창식 구명뗏목까지 헤엄쳐 구명뗏목에 오른다.
팽창식 구명뗏목 이용이 불가능할 때는 장병들이 구명의에 부착된 띠로 서로 연결해 원형을 형성한 채 구조를 기다린다. 아니면 4∼5명이 한 조를 이뤄 수중 행군을 통해 안전한 수역으로 이동한다.
같은 날, 해군 문무대왕함(4400t급) 장병들은 진해군항 손상통제훈련장에서 손상통제훈련을 실시한다.
손상통제훈련을 항해 중에는 월 1회, 부두 정박 중에는 일 1회 이상 자체적으로 시행한다. 또한 육상 손상통제훈련장에서 실제 상황을 연출해 1~2일간 훈련을 진행한다.
이날 문무대왕함 장병들은 오전에 소화훈련장에서 유류화재 진화훈련을, 오후에 방수훈련장에서 방수와 파이프 패칭(Patching) 훈련을 진행한다.
특히 오후 훈련은 함정 선체 손상으로 물이 유입되면서 시작된다. 문무대왕함 신속대응반(조사반)이 먼저 함정 파공(破空) 현황을 확인하고 방수반을 투입한다.
방수반은 각종 방수·패칭 도구를 활용해 파공 손상 개소를 메우고 파이프에서 흘러나오는 물을 막는다.
한편, 해군은 비상 상황에서 함정의 생존성 향상을 위해 '한국형 함정 손상통제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이 사업은 ▲함정 손상통제관리 소프트웨어(SW) 개발 ▲교육훈련시스템 구축 ▲교범·지침서 신규 작성 ▲손상통제 조직개편·인력보강 ▲손상통제 자산확보·탑재로 구성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