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2조7087억원을 투입해 지하시설물 통합 안전관리에 나선다. 서울의 지하에는 상·하수도관, 전력선, 통신선, 가스관, 지하철 등 총연장 5만2697㎞의 지하시설물이 묻혀있다. 관리주체가 달라 현황 파악조차 어려운 실정이다.
시는 아현동 통신구 화재, 목동 열수송관 파열, 문래동 적수 사태 등 지하시설물의 노후화·과밀화로 인한 문제 재발을 막기 위해 유관기관과 상설협의체를 구성, 통합적으로 관리한다.
서울시는 25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서울시 지하시설물 통합 안전관리대책'을 발표했다.
시는 오는 2023년까지 ▲지하안전 통합체계 구축 ▲선제적·체계적 안전관리 ▲스마트기술 예방시스템 개발 등 3대 분야 10개 추진과제를 시행한다.
이와 관련해 시는 이날 오전 10시 서울시청 3층 대회의실에서 주요 지하시설물 관리기관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에 따라 서울시와 KT, 한국전력공사, 한국가스공사, 한국수자원공사, 한국지역난방공사는 '지하시설물 안전관리 협의체'를 발족한다. 지반침하 예방을 위해 시가 관리하는 도로를 5개 권역으로 나눠 2022년까지 1222km(178개 노선)에 대한 공동(空同)조사를 시행한다.
기관간 합동훈련을 정기적으로 실시해 복합재난에 대한 대응역량을 강화하고 '지하시설물 안전관리 통합정보 분석시스템'을 구축, 재난발생시 신속하게 대응한다.
폭 3m가량의 '소형 공동구' 설치방안도 검토한다. 이를 위해 2020년까지 '서울시 공동구 기본계획'을 수립한다. 공동구는 전선, 수도관, 가스관, 전화 케이블 등을 수용하는 지하 터널을 뜻한다.
노후 상·하수관로, 열수송관 등 1970~1980년대 집중적으로 건설돼 노후화가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지하시설에 2023년까지 예산 2조4699억원을 조기 투입해 정비를 추진한다.
지하시설물 노후화와 관련해 빅데이터를 활용한 예측시스템을 연내 개발하고 사물인터넷, 인공지능 등을 활용한 스마트 관리체계를 구축, 관리 사각지대 해소에 나선다. 은평 공동구에 24시간 순찰이 가능한 지능형 궤도주행 로봇을 연말까지 설치해 시범운영에 들어간다.
박원순 시장은 "지하시설물은 한번 사고가 발생하면 복합재난의 원인이 되므로 철저한 예방활동과 신속한 대응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서울시가 컨트롤타워가 돼 지하시설물을 통합관리하고 각 기관과 협력해 서울의 지하안전을 구축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