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제약/의료/건강

지난해 의약품 수출액 5조원 돌파..바이오의약품이 수출 견인

지난해 의약품 수출액이 5조원을 넘기며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특히 바이오의약품은 수출에 강세를 보이며 4년 연속 무역수지 흑자를 나타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지난해 의약품 수출액이 46억7311만달러(5조1431억원)로 전년 대비 14.8% 증가하며 역대 최대 수출실적을 기록했다고 29일 밝혔다.

의약품 수출 실적은 지난 5년간 연평균성장률 17.9%로 고속 성장세를 지속하고 있다. 완제의약품 수출액은 전년 대비 18.8% 늘어난 30억 8592만달러를 기록해 처음 30억 달러를 돌파했다. 전체 의약품 수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66%에 달하며, 최근 5년간 연평균성장률도 25.8%를 기록했다.

국내 의약품 생산실적은 3.7% 늘어난 21조1054억원으로 처음 21조를 넘어섰다. 최근 5년간 의약품 분야 연평균 성장률은 6.5%로 제조업 평균(4.4%)보다 높았으며, 지난해 의약품 생산실적이 국내 제조업 분야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4.35%로 최근 5년 중 가장 높았다.

특히 전문의약품 생산실적이 15조원을 넘기며 전체 비중 84%를 기록했다. 지난해 전문의약품 생산품목이 1만4203개로 전년대비 564개 늘어난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제약사별 생산실적도 큰 변동을 나타냈다. 지난해에는 한미약품이 전년 대비 19.5% 늘어난 8075억원의 생산실적을 기록하며 2위에서 1위로 치고 올랐다. 종근당 역시 8172억원의 생산실적을 나타내며 3위에서 2위로 올라섰다. 2017년 1위를 기록한 셀트리온은 7259억원을 기록하며 2계단 하락한 3위로 내려 앉았다.

완제의약품은 면역글로블린제제인 녹십자의 '아이비글로불린에스엔주5%'(1002억원)가 지난해 7위에서 1위로 올라섰고, 그 뒤로 메디톡스의 '메디톡신주'(950억원), 한독의 '플라빅스정75㎎'(811억원) 순으로 나타났다. 원료의약품은 셀트리온의 '허쥬마원액'(2904억원)이 1위로 올라섰으며, '트룩시마원액'(2112억원), '램시마원액'(1452억원)이 뒤를 이었다.

특히 바이오의약품 수출이 15억 달러를 넘어서며 전체 수출 성장을 견인했다. 지난해 바이오의약품 수출은 전년 대비 13.9% 급증한 15억5925만 달러를 기록했다. 이 중 바이오시밀러가 전체 수출의 22.9%를 차지하며 수출 유망산업으로 떠올랐다.

의약품 전체 무역수지는 18억 2824만달러(2조 121억원)의 적자를 보인 반면, 바이오의약품을 별도로 분류할 경우 3억4567만달러(3804억원)의 무역수지 흑자를 나타내 4년 연속 흑자를 기록했다.

지난해 바이오의약품 생산실적은 2조6113억원으로 '17년(2조 6,015억원) 대비 0.4% 증가하고 최근 5년간 연평균성장률 11.6%를 보였다. 수출실적은 15억5925만달러(1조7161억원)로 전년 대비 13.9% 증가했으며, 최근 5년간 연평균 성장률 27.6%로 고속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특히, 유전자재조합의약품(바이오시밀러, 항체의약품 등)의 수출실적은 전년 대비 18.7% 증가한 11억7696만달러로 바이오의약품 수출실적의 75.5%를 차지했다.

식약처 관계자는 "우리 기술로 개발된 바이오의약품이 미국·유럽 등 선진국까지 허가·사용되어 국내 바이오의약품이 양적인 팽창 뿐 아니라 질적인 성장도 동반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