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제약/의료/건강

[기자수첩]새벽배송의 모순

눈을 뜨자마자 현관문을 열고 지난 밤 장 본 음식을 정리하는 건 일상이 됐다. 잠들기 전 주문을 하면 5~6시간 안에 받아볼 수 있는 세상이 열렸다. 아이 학교 준비물을 깜빡해도, 도시락 재료가 떨어져도 걱정이 없다. 출근 전, 냉장고를 채울 수 있다는 것도 '직장맘'에게는 든든한 일이다. '새벽배송' 이 바꾼 감사한 일상이다.

생각해보면 오늘 주문해 내일 받을 수 있었던 쿠팡의 로켓배송, 이마트 쓱(SSG) 배송도 소비자에겐 '신세계'였다. 하지만 같은 가격에 새벽배송이 시작되자마자 모두 매력을 잃었다. 이제는 급하지 않은 식품들도 자연스레 새벽배송을 클릭하게 되는 세상 속에 살고 있다.

반면, 마음은 불편하다. 이렇게 누리는 편의가 누군가의 희생으로 이뤄지기 때문이다. 새벽배송이 시작되면서 택배 기사들의 노동 강도가 심해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과도한 포장도 부담스럽다. 주문한 제품마다 보냉제 2~3개, 에어백, 보냉팩 등이 차곡히 쌓여 커다란 박스 하나로 배송된다. 6개 식품을 시키면 4개 박스가 오는 식이다.

이런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나라는 단언컨데 대한민국 밖에 없다. 미국, 유럽 등 우리가 선진국이라고 부르는 국가의 소비자들은 영업일 기준으로 3~5일 이내 택배를 수령하는 것을 당연히 여긴다. 주말이나 휴일이 겹치면 일주일 넘게 기다리는 일도 허다하다. 각자의 불편함을 조금씩 양보하면 모두가 주말과 저녁이 있는 삶을 누릴 수 있다는 공감대가 있기 때문이다.

오늘도 새벽배송을 받고 온 사람으로 이런 말은 위선이고 모순임을 안다. 하지만 '지속가능성'을 생각한다면 새벽·당일배송은 분명 불편한 경쟁이다. 돌이키기 늦었다면, 현실가능한 대안은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드론, 자율주행 차량의 배송이 꼽힌다. 누군가 더 큰 희생이 있기 전에 그런 날이 빨리 오길 바랄 뿐이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