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뱅크가 다음달 차기 행장에 대한 선임절차를 본격화한다. 당초 케이뱅크의 최대주주로 오르려던 KT의 대주주 적격 심사가 무기한 중단됐고, 증자나 신규 주주 영입 등 자본 확충 문제도 걸려있어 연임과 교체 모두 쉽게 예단하기 힘든 상황이다.
29일 케이뱅크에 따르면 심성훈 현 행장의 임기는 오는 9월 23일까지다. 지배구조 내부규범상 최고경영자 선임 절차는 임기 만료 최소 30일 이전에 시작토록 하고 있어 늦어도 8월 중순부터는 임원후보추천위원회가 가동될 것으로 보인다.
케이뱅크의 행장 임기는 3년이며, 연임도 가능토록 해놨다.
심 행장은 케이뱅크 출범을 책임진 초대 행장인 만큼 규정상 연임이 가능하다. 인터넷전문은행 1호로 영업성과도 출범 초기에는 예상을 뛰어넘었다.
문제는 자본 확충이다. 케이뱅크는 지난 12일 276억원 규모의 전환주 유상증자를 마무리 했지만 공격적인 영업을 위해선 일정 규모 이상의 증자가 필요한 상황이다. 대출 영업도 전면 중단한 이후 아직 재개 일정은 잡히지 않았다.
KT의 자본 투입은 당분간 바랄 수 없다. 금융당국은 지난 4월 공정거래위원회의 조사를 이유로 케이뱅크에 대한 KT의 주식보유한도 초과보유 승인 심사를 중단키로 한 바 있다. 정통 KT맨인 심 행장으로서는 힘이 빠질 수밖에 없다.
케이뱅크 관계자는 "KT가 케이뱅크 지분 34%를 가져가는 것은 제외한 상태에서 증자를 진행하다 보니 지배구조가 복잡해질 수밖에 없다"며 "최근 주주사인 우리은행과 DGB금융(DGB캐피탈) 등에 증자를 요청한 것은 사실이지만 여러 방안 중 하나일 뿐 아직 정해진 것은 없다"고 설명했다. 또 관계자는 "규정에 따라 최고경영자 인선 절차를 진행하겠지만 그보다는 자본 확충 문제가 우선"이라며 "여러 가능한 시나리오를 모두 검토 중"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케이뱅크의 임추위는 최승남 위원장을 비롯해 사외이사 성낙일, 이헌철, 홍종팔, 최용현 등 총 5명으로 구성돼 있다. 케이뱅크의 지배구조 공시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최고경영자 후보군은 총 7명이며, 향후 경영승계절차 개시 시점에 주주사, 외부자문기관 등의 후보군 추천이 있을 경우 후보군을 추가 및 변경해 나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