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경기실사지수(업황BSI) 추이. /한국은행
기업들의 체감경기 관련 지수가 7월 다시 하락했다. 제조업, 비제조업 체감경기가 모두 부진했고 8월 전망은 더 어두워졌다. 경기악화를 전망하는 기업들이 늘고 있다는 얘기다.
한국은행이 30일 발표한 '2019년 7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 및 및 경제심리지수(ESI)'에 따르면 7월 전산업 BSI는 73(기준선 100)으로 전월보다 1포인트 하락했다. 전산업 업황BSI는 지난 5월 73에서 6월 74로 상승했으나 한 달 만에 다시 떨어진 것이다.
BSI는 기업가의 현재 기업경영상황에 대한 판단과 향후 전망을 조사한 결과로 기업이 인식하는 경기 상황을 보여주는 지표로 쓰인다. 기준치인 100 미만이면 경기를 비관하는 기업이 좋게 인식하는 기업보다 많다는 뜻이다.
제조업 업황BSI(73)는 전자·영상·통신장비(4포인트)가 상승했으나 자동차(-7포인트), 1차금속(-7포인트) 등이 하락하면서 전월 대비 2포인트 떨어졌다. 자동차 부품 수출이 감소하고 휴가철 영향으로 영업일수가 줄어든 영향이다. 여기에 건설업 부진이 겹쳤다.
기업규모별로 보면 대기업(79)은 보합인 반면 중소기업(66)은 4포인트 하락했다. 기업형태별로는 수출기업(84)은 4포인트 상승했으나 내수기업(66)은 6포인트 떨어졌다.
비제조업 업황BSI(72)도 전월 대비 2포인트 내렸다. 여행 성수기를 맞아 숙박업(6포인트) 등이 상승했으나 신규 수주 감소와 건설업 비수기 등으로 건설업(-2포인트), 전문·과학·기술(-12포인트) 등을 중심으로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 달 전망은 크게 악화됐다. 8월 전산업 업황전망BSI는 71로 전월보다 4포인트 하락했다. 제조업(71)과 비제조업(71)의 8월 업황전망BSI도 전월보다 각각 4포인트, 3포인트 떨어졌다.
경제심리지수(ESI)는 전월보다 3.2포인트 하락한 89.2를 기록했다. ESI는 BSI와 소비심리를 나타내는 소비자동향지수(CSI)를 합성한 지표로 기업과 소비자를 포함한 민간의 경제상황에 대한 심리를 파악하는 데에 활용된다.
계절 변동 요인 등을 제거한 ESI 순환변동치는 91.3으로 전월 대비 0.2포인트 하락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