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좌이동서비스, 내계좌한눈에, 내카드 한눈에 서비스 이용방법/금융위원회
27일부터 주거래 계좌에 묶여있던 자동이체 내역을 한 번에 조회, 옮길 수 있는 서비스가 2금융권으로 확대된다. 숨은 예금만 조회되던 계좌통합관리서비스를 개선해 계좌 조회 후 잔고이전과 해지도 한 번에 할 수 있다. 소비자의 금융 이용을 쉽게 하고, 계좌선택권을 확대해 금융사 간의 서비스 경쟁을 촉진시키겠다는 의도다.
금융위원회는 26일 저축은행, 상호금융, 우체국 등 2금융권도 계좌이동 서비스와 계좌통합관리서비스를 시행한다고 밝혔다. 계좌이동 서비스는 2015년 도입된 제도로 계좌에 걸려있는 각종 자동납부 이체 내역을 다른 계좌로 한 번에 옮겨주는 서비스다.
먼저 금융위는 계좌이동서비스를 저축은행, 상호금융, 우체국 등 2금융권으로 확대한다. 기존에는 은행에만 계좌이동 서비스를 제공해, 2금융권 이용고객은 주거래 계좌 변경 시 하나하나 자동이체 내역을 해지, 재신청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앞으로는 페이인포 누리집이나 어카운트인포 모바일 앱을 통해 별도 비용없이 자동이체 계좌를 변경할 수 있다. 누리집과 앱에서 로그인 한 후, 자동이체 변경메뉴에서 자동이체 내역을 선택, 변경할 금융회사의 계좌번호만 입력하면 자동이체 계좌이동이 완료된다.
계좌통합관리서비스의 소액. 비활동성 계좌 잔고이전 해지과정/금융위원회
1년이상 거래가 없던 50만원 미만의 계좌도 잔고이전과 해지를 한 번에 할 수 있다.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2금융권 소액 비활동성 계좌는 지난 6월 기준 5만6383개로 7187억원에 달한다.
소액 비활동성 계좌를 가지고 있는 예금자는 어카운트인포(accountinfo) 누리집이나 모바일 앱을 통해 접속한 뒤 본인계좌로 전액 이전하거나 서민금융진흥원에 기부하면 된다.
금융위 관계자는 "은행방문이 어렵고, 계좌정리가 번거로워 이용하지 못했던 예금자들이 소액금융자산을 쉽게 이체할 수 있게 됐다"며 "이를 통해 가처분소득 증대와 서민금융재원도 확대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이 밖에도 금융위는 '내 카드 한눈에' 서비스에 광주은행, 전북은행, 제주은행, 수협은행, 카카오뱅크를 포함한다. '내 카드 한눈에'는 카드사별 카드보유 내역, 결제예정금액 등 카드 이용정보, 잔여포인트, 소멸예정포인트 등을 한 번에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다. 이로써 모든 카드사의 정보를 한 번에 조회할 수 있된 셈이다.
금융위는 PC, 모바일을 통해 계좌이동과 소액·비활동성 계좌 정리등을 전 금융권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22개 증권사를 대상으로 투자자 예탁금 계좌정보 조회와 소액 비활동성 계좌정리서비스를 시행하고, 12월부터는 카드사의 자동납부목록을 조회하고 해지 변경할 수 있는 카드이동서비스도 도입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