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성수 금융위원장 후보자가 29일 국회 정무위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 출석해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 손진영기자 son@
이르면 오는 4일 은성수 체제의 금융위원회가 출범한다. 이에 따라 공석인 수출입은행장부터 임기가 만료되는 기업은행장까지 국책은행의 후속인사에도 관심이 쏠린다. 특히 거론되는 후보자가 모두 현직에 있어 수출입은행장 인선을 시작으로 연쇄인사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1일 금융권에 따르면 국회 정무위원회는 2일 전체회의를 열고 은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보고서를 채택할 예정이다. 청문보고서가 채택되면 다음날인 3일 대통령의 재가를 받고 이르면 4일 금융위원장에 취임한다.
수출입은행장 후보자에 유광열 금융감독원 수석부원장과 최희남 한국투자공사(KIC)가 거론되고 있다/각사
당장 금융권에서 관심이 쏠리는 곳은 수출입은행이다. 은 후보자까지 3명의 수출입은행장이 금융위원장 자리에 오르면서 경제관료 출신 사이에선 수출입은행장 자리가 요직으로 부상하고 있다.
금융권 안팎에서는 기획재정부 출신이 수출입은행장 자리에 오를 것으로 판단한다. 수출입은행법에 따르면 수출입은행장은 기획재정부 장관이 후보를 제청하고 대통령이 임명하는 식으로 진행되기 때문. 지금까지 1976년 수출입은행이 설립된 이후 총 20명의 은행장 중 17명이 기획재정부 출신이다.
현재 수출입은행장 후보자로는 유광열 금융감독원 수석부원장과 최희남 한국투자공사(KIC) 사장 등 2명이 물망에 오른다.
가장 유력한 후보는 유 수석부원장이다. 유 수석부원장은 2011년 재정경제부 산업경제과장을 거쳐 기재부 국제금융정책관, 국제금융협력국장을 지냈다. 2014년부터는 금융위에서 금융정보분석원장과 증권선물위원회 상임위원을 역임한 후 현재 금감원 수석부원장을 맡고 있다. 국제금융에 밝고, 금융위와 금감원을 두루 거친 금융통이라는 평이 나온다.
최 사장은 제29회 행정고시로 공직에 입문한 후 기재부 외화자금과장, 국제금융과장, 주요20개국(G20) 정상회의 준비위원회 기획조정단장, 국제금융협력국장, 국제금융정책국장, 국제경제관리관과 세계은행(WB) 이사, 국제통화기금(IMF) 이사를 지냈다. 최 사장은 오랫동안 국제 금융분야에서 경험을 쌓아 국제금융과 거시경제 전문성이 탁월하다는 평이다.
아울러 오는 12월 김도진 IBK기업은행장의 임기가 끝남에 따라 차기 기업은행장에도 여러 후보가 거론되고 있다. 현재 거론되는 관료 출신 후보자로는 수출입은행장에 거론된 2명과 정은보 전 금융위 부위원장, 윤종원 전 경제수석의 이름이 나온다. 다만 기업은행의 차기 은행장으로는 내부승진설과 관료임명설 등 다양한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국내 금융시장이 해외에서 오는 불확실성에 대응해야 하는 구조가 되면서 국책은행 수장자리에 관료출신 전문가들이 유력후보로 거론되고 있다"며 "수은 행장 결정까지 한달 남짓 걸린 후, 금융권 내 연쇄적인 인사이동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