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그룹 계열인 IT전문기업 아주큐엠에스가 레미콘 산업 곳곳에서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하며 업계에서 4차 산업혁명을 이끌고 있다.
아주큐엠에스는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챗봇(ChatBot), 로봇 프로세스 자동화(Robotic Process Automation)등의 기술을 활용해 레미콘 모래, 자갈 등과 같은 원자재 납품 차량의 입출고 관리를 모바일로 운영할 수 있는 '모바일 골재입고 서비스'를 지난해 국내 처음으로 개발, 레미콘 사에 납품하고 있다고 18일 밝혔다.
해당 기술은 골재 입출고 적재량을 모바일앱과 연동된 사업장 출입구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하고, 관리 프로그램에서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입출고 현황을 알려준다. 해당 모바일앱은 스마트폰 다운로드를 통해 레미콘 운송자가 손쉽게 이용할 수 있다.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기술이 적용돼 관리자가 골재 감량을 자동으로 확인할 수도 있다.
아울러 차량통제, 일일마감을 손쉽게 처리할 수 있고 종이송장을 전자송장으로 대체해 골재 공급업체 간의 골재 정량 여부를 둘러싼 갈등이나 분쟁을 줄일 수 있는 장점도 있다.
기존 출하실과 전화통화로 확인했던 출하정보를 메신저에서 일상 언어로 대화하듯 이용할 수 있게해주는 서비스도 상용화했다. 이 기술은 현재 아주그룹의 건자재 전문기업인 아주산업의 레미콘 7개 사업소에서 활용하고 있다.
카카오톡 메신저를 이용한 챗봇을 통해 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이 실시간으로 출하 내역을 확인하고 납품규격, 주문량·주문대수, 차량 배차간격 등 많이 사용하는 주요 단어를 버튼화해 손쉽게 출하 주문을 받을 수 있다.
아주큐엠에스 관계자는 "출하 챗봇은 전화통화로 생기는 커뮤니케이션 오류를 크게 줄여 현장의 요구사항에 대해 신속하고 정확한 대응을 가능하게 해줄 뿐만 아니라 담당자가 생산업무에 집중할 수 있어 출하 리드타임(상품 생산 시작부터 완성까지 걸리는 시간)을 줄이는데 도움이 된다"면서 "반복적인 단순 업무를 로봇 소프트웨어를 통해 자동화하는 기술인 RPA를 활용한 솔루션도 레미콘 품질관리 업무에 활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해당 시스템은 기존 제출서류 작업을 위해 품질시험 결과 입력, 출하생산 투입량 확인, 운반거리 비교 등 품질관리 직원이 일일이 확인하는 업무를 로봇 소프트웨어가 필요한 데이터 추출 및 분석, 검증, 서류 출력까지 자동으로 진행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