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그룹은 미국 앱티브와 합작법인을 설립하고 자율주행차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한다. /현대차그룹
현대자동차그룹이 글로벌 최고 자율주행 기업과 동거를 결정했다. 글로벌 자율주행차 시장을 주도할 기반을 마련했다는 평가다.
현대차그룹은 23일(현지시간) 미국 앱티브와 현지에 합작법인(JV)을 설립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본사는 미국 보스턴, 내년중 최종 설립을 예상했다.
JV는 40억달러를 현대차그룹과 앱티브가 50%씩 지분을 투자해 만들어진다. 현대차와 기아차, 현대모비스가 16억달러 및 연구개발 역량 및 지적재산권 등 4억달러 가치를, 앱티브는 자율주행 기술과 지적재산권, 개발 인력 700여명을 출자하는 형식이다.
단순 협업을 넘어 화학적 결합까지 노린다는 전략이다. 자율주행 S/W 기술을 단순히 공급받는 데서 나아가, 직접 만들겠다는 얘기다.
앱티브는 차량 전장부품과 자율주행을 전문 개발하는 기업으로, 공유차 업체 리프트와 자율차 프로젝트를 함께하고 오토마티카와 누토노미 등 자율주행 스타트업을 인수하는 등 세계 최고 수준 기술력을 보유한 회사로 평가받는다. 특히 복잡한 시내나 열악한 환경에서 높은 대처 능력을 보유했다는 후문이다.
JV는 2022년까지 완성차업체와 로보택시 사업자에 공급할 자율주행 플랫폼을 개발해 상용화까지 마친다는 계획이다. 자율주행 레벨 4~5 수준으로, 현대기아차뿐 아니라 다른 글로벌 자동차 브랜드에 보급하며 자율주행차 시장을 주도할 수 있을 전망이다.
현대차는 JV를 통해 완전자율주행 기술 개발에 한걸음 더 다가가게 됐다. 앱티브가 자율주행 연구거점을 국내로 확대하면서 기술력 확산 효과도 기대된다.
현대차는 추후 전기차와 수소전기차를 JV에 공급해 연구 지원도 진행할 예정이다. 앱티브가 진행해온 로보택시 시범사업도 현대·기아차로 대체한다는 방침이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수석부회장은 "이번 협력은 인류의 삶과 경험을 획기적으로 변화시킬 자율주행기술 상용화를 목표로, 함께 전진해나가는 중대한 여정이 될 것"이라며 "자율주행 분야 최고 기술력을 보유한 앱티브와 현대차그룹의 역량이 결합된다면 강력한 시너지를 창출해 글로벌 자율주행 생태계를 선도해 나갈 것으로 확신한다"고 말했다.
케빈 클락 앱티브 CEO는 "이번 파트너십은 ADAS를 비롯한 차량 커넥티비티 솔루션, 스마트카 아키텍처 분야 앱티브의 시장 선도 역량을 보다 강화하게 될 것"이라며 "현대차그룹이 보유한 최첨단 기술력과 연구개발 역량은 자율주행 플랫폼의 상용화를 앞당기기에 최적의 파트너"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