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담보대출 차주들은 불확실한 금리인하 기대보다는 확실한 정책금리를 택했다.
서민형 안심전환대출이 금리하락기에 고정금리로 출시된 데다 자격요건을 제한하면서 수요가 많지 않을 것이란 당초 예상은 빗나갔다. 신청기간이 아직 일주일 가까이 남았지만 신청규모가 이미 한도 20조원을 넘어섰고, 이런 속도라면 40조원 가까이 신청이 들어올 수도 있다.
예상보다 몰린 안심전환대출 수요에 은행권 표정은 씁쓸하다. 안심전환대출 자체가 대환으로 기존 고객을 뺏기는데다 대출을 위해 발행하는 주택저당증권(MBS)을 은행들이 의무적으로 사줘야 하는 '팔 비틀기' 구조인 탓이다. 금융당국이 전체 한도는 20조원에서 더 늘리지 않겠다고 확정했지만 20조원 자체도 은행권에서는 부담이 되는 규모다.
24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서민형 안심전환대출은 신청접수 8일차인 지난 23일 오후 4시 기준 약 26조원, 22만4000건의 신청이 들어왔다.
신청은 온라인 접수가 금액 기준 90%에 달했다. 저금리 시대에 온라인 신청에 따른 0.1%포인트의 금리혜택도 무시할 수 없다는 분위기다.
지난 2015년 1차 안심전환대출 당시 요건 미비에 따른 탈락률은 15% 정도였다. 탈락률이 비슷할 것이라고 가정하면 당장 신청을 마감하더라도 한도 20조원을 모두 채울 수 있는 수준이다.
신청접수 9일차인 이날도 열기는 여전했다. 주택금융공사의 안심전환대출 신청은 오후까지도 접속대기 명수가 4만명을 웃돌았다. 접수시작 이후 하루 평균 3조원 이상 신청이 들어왔음을 감안하면 마감일인 29일에는 40조원을 웃돌 수도 있다.
신청 광풍의 원인은 사상 최고 수준의 금리혜택이다.
서민형 안심전환대출의 금리는 1.85~2.20%(잠정치)로 주요 정책주택금융 상품 가운데 가장 낮다. 자격요건이 더 까다로운 보금자리론은 물론 청년 맞춤형 전월세보다도 낮은 금리로 이용할 수 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금리인하가 기대된다고 하지만 단기간은 아닌데다 최소 10년 이상인 주담대의 특성상 향후 경제상황에 따라 언제 금리오를지 알 수 없다는 불안감이 있다"며 "일단 조건에 해당하는 차주라면 무조건 신청하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은행권도 안심전환대출에 따른 타격이 불가피하게 됐다.
DB금융투자 이병건 연구원은 "당초 금리수준이 이미 많이 낮아졌기 때문에 신청금액이 20조원을 밑돌 가능성이 높다고 봤지만 일부 요건미달 가능성을 고려해도 20조원 전체가 집행될 상황"이라며 "신청 이전 금융당국이 예상한대로 대부분 은행권 대출이 안심전환대출로 전환될 경우 은행별로 자산증가율을 1~2%포인트 낮추는 효과가 나타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 연구원은 또 "가계대출 비중이 낮은 기업은행이나 지방은행보다는 대형 시중은행의 영향이 클 것"이라며 "올해 자산증가세는 작년보다 낮은데다 4분기에는 안심전환대출로 인해 일부 은행의 경우 대출감소가 예상돼 실적전망이 하향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