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유엔 총회장에서 제74회 유엔 총회 기조연설을 피력하는 모습/청와대
미국을 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이 24일(현지시간) 취임 후 3번째 유엔 총회 기조연설을 통해 ‘한반도 평화·통일’이 서서히 다가오고 있음을 강조했다. 실제 문 대통령은 이번 기조연설 때 한반도의 비무장지대(DMZ)를 국제평화지대로 만들자는 제안을 강조했다. 이 제안은 앞서 이뤄진 2번의 문 대통령 유엔 총회 기조연설과 대조할 때 상당히 진전된 평화·통일 메시지다. 문 대통령은 재작년 유엔 총회 기조연설 땐 '강력한 대북제재'를, 작년 기조연설 땐 '종전선언'을 각각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유엔 총회장에서 열린 제74회 유엔 총회 기조연설 때 "유엔(UN, 국제연합) 모든 회원국들에게 '한반도의 허리'를 가로지르는 DMZ를 국제평화지대로 만들자는 제안을 하고자 한다. DMZ는 70년 군사적 대결이 낳은 비극적 공간이지만 역설적으로 그 기간 동안 인간의 발길이 닿지 않은 자연 생태계 보고로 변모했고, 분단의 비극과 평화의 염원이 함께 깃들어 있는 상징적인 역사 공간이 됐다"고 제안했다. 이어 "비무장지대는 세계가 그 가치를 공유해야 할 인류의 공동유산이자 남북간 평화가 구축되면 북한과 공동으로 DMZ를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추진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문 대통령은 계속해서 "판문점과 개성을 잇는 지역을 평화협력지구로 지정해 남북, 국제사회가 함께 한반도 번영을 설계할 수 있는 공간으로 바꿔내고 DMZ 안에 남북 주재 유엔기구 등이 자리 잡아 평화연구-평화유지 활동의 중심지가 된다면 명실공히 국제적인 평화지대가 될 것"이라고 했다. 이어 "북한이 진정성을 가지고 비핵화를 실천해 나간다면 국제사회도 이에 상응하는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 국제 평화지대 구축은 북한의 안전을 제도적으로 보장하고, 한국도 항구적 평화를 얻을 것"이라고 부연했다.
여권에서는 문 대통령의 이번 기조연설에 대해 '한반도 평화의 길을 열었다'고 평가했다. 홍익표 더불어민주당 수석대변인은 25일 브리핑 때 "문 대통령이 유엔 총회 연설을 통해 '한반도의 평화와 세계평화는 불가분의 관계'임을 강조하고, 국제사회가 함께 비무장지대를 국제평화지대로 변화시키자고 제안했다. 직접 당사국들을 넘어 세계가 함께 한반도에 '평화의 규칙'을 공고히 만들어가자는 문 대통령의 제안에 국제사회가 공감과 지지를 보냈다"고 했다.
한편 문 대통령은 지난 2017년 9월 제72회 유엔 총회 기조연설 때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유례없이 신속하게 이전의 결의보다 훨씬 더 강력한 내용으로 대북제재를 결의한 것을 높이 평가한다. 북한 핵과 한반도 문제에 대해 국제사회가 함께 분노하며 한목소리로 대응하고 있음을 분명하게 보여줬다"고 했다. 이어 "북한은 스스로를 고립과 몰락으로 이끄는 무모한 선택을 즉각 중단하고, 대화의 장으로 나와야 합니다. 나는 북한이 타국을 적대하는 정책을 버리고 핵무기를 검증 가능하게, 그리고 불가역적으로 포기할 것을 촉구한다"고 부연했다.
문 대통령은 작년 9월 제73회 유엔 총회 기조연설 땐 "한반도는 65년 동안 정전 상황"이라며 "전쟁 종식은 매우 절실하다. (그리고 종전은) 평화체제로 가기 위해 반드시 거쳐야할 과정이다. 앞으로 비핵화를 위한 과감한 조치들이 관련국 사이에서 실행되고 종전선언으로 이어질 것을 기대한다. 어려운 일이 따를지라도 남북미는 정상들의 상호 신뢰를 바탕으로 한걸음씩 평화에 다가갈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