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모리 반도체가 새로운 시대로 접어들 조짐이다. 인텔이 차세대 메모리인 옵테인 생태계 확대에 힘을 싣고 있는 가운데,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도 차세대 메모리 사업의 주도권을 잡기 위해 출사표를 던질 수 있다는 기대도 높아진다.
인텔코리아는 26일 동대문 JW메리어트 스퀘어에서 '메모리 앤 스토리지 데이 2019'를 열고 '옵테인 메모리' 시대를 열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롭 크룩 비휘발성 메모리 솔루션 그룹 총괄은 기조연설을 통해 데이터가 기하급수적으로 커지고 있음에도 메모리 성장 속도는 둔화되고 있다며, '무어의 법칙'을 지키기 위해서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다며 옵테인 기술 필요성을 강조했다.
옵테인은 P램 기술을 활용해 데이터 전송 속도를 높이는 원리로 알려져있다. 물질 형상 변화를 활용하는 방식으로, D램에 근접할만큼 빠르면서 전원을 꺼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제품이다.
인텔은 구체적인 내용도 밝혔다. 뉴멕시코 리오란초 시설에 QLC 144단 낸드를 양산하는 라인을 운영하고, 내년에 차세대 '제온 스케일러블 프로세서'와 함께 2세대 인텔 옵테인 낸드와 퍼시스턴트 메모리 제품을 출시하겠다는 내용이다.
인텔 롭 크룩 비휘발성 메모리 솔루션 그룹 총괄이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인텔
이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보다 한 단계 앞선 행보다. 양사는 현재 128단 수준 낸드를 양산을 시작한 상황, 삼성전자가 내년 중 7세대 양산을 시작할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자칫 메모리 반도체 시장 주도권을 뺏길 수도 있다는 얘기다.
실제로 인텔은 이날 옵테인을 선택하는 기업이 빠르게 늘고 있다며 생태계 구축에 힘을 쏟겠다는 계획도 공개했다. 미국 시스코와 버라이즌, 중국 바이두와 국내 네이버 및 현대차그룹까지 여러 기업들이 이미 옵테인 시스템을 도입해 활용하는 상태다. 델 EMC 등 서버 제조 업체들도 옵테인 도입을 가속화하고 있다.
특히 클라우드 업체인 오라클도 옵테인을 선택했다. 옵테인이 클라우드 서버 메모리 시장을 50%까지 점유하겠다는 포부도 밝혔다.
차세대 메모리 수요가 이미 충분해졌다는 얘기다. 실제로 전문가들은 최근 빅데이터 활용과 인공지능 확대로 더 빠른 메모리 필요성을 강조해왔다. 메모리 업체들도 초미세 공정을 도입하면서 수요에 대응하려 노력했지만, 쉽지는 않다는 전언이다.
단, 인텔이 차세대 메모리 시장을 독점할 수 있을지는 아직 미지수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역시 오랜 기간 P램을 연구해왔기 때문이다.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2020년을 전후해 P램 양산과 상용화에 돌입할 예정이다. SK하이닉스도 시장 상황을 예의 주시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단, 아직 완벽하지 않은 P램 상품성은 걸림돌이다. 옵테인이 속도를 높일 수 있는 반면, 오랜 기간 안정성을 검증한 기존 메모리 반도체를 금방 대체하기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업계에서도 옵테인 메모리 안정성에 의심이 크다는 전언이다.
한 관계자는 "P램에 쓰이는 물질은 변성이 심해서 현재 기술로는 완벽하게 제어하기 어렵다"며 상용화에 회의적인 입장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