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AI 국가전략' 마련한다는데…가르칠 교수가 없다
-'겸업금지' 풀 파격 있어야 AI 인재 양성가능
-마중물은 '소프트웨어 역량·프로그래밍 교육'
정부가 'AI(인공지능) 국가전략'을 조만간 발표하지만 AI 인재양성을 위한 대학원 교수는 '하늘의 별따기'다.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국회 국정감사에서 "인공지능 시대의 선제적 대응을 위한 'AI 국가전략'을 마련해 조만간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그 발전 근간인 AI 인재양성을 위해 AI 대학원을 준비했던 대학들이 교원 충원에 난항을 겪고 있다. 이로인해 정부가 '2022년까지 고급 AI 인재 1000명을 육성하겠다'는 목표 역시 실현 가능성에 물음표가 달린 상태다.
◆겸업금지 조항 손봐야
올해 초 1차 AI 대학원 지원사업에는 고려대, 성균관대, 카이스트 등 3곳이 선정됐다. 이어 지난달 29일 포항공과대학교와 광주과학기술원(GIST)이 추가로 지정됐다. 문제는 연구 환경과 보수다. 인재를 영입하려면 대상자(교수)가 연구에 몰두하고 성과를 낼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줘야 한다. 하지만 연구 시설,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 대규모 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는 인력, 연구의 확실한 자율성 보장이 현재 상태로는 어려운 실정이다.
고려대 인공지능 대학원 개원식. 민원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차관(왼쪽)과 고려대학교 인공지능학과 이성환 주임교수(오른쪽). /고려대 제공
AI 대학원에 선정된 대학 관계자들은 공공이나 사기업이 채택한 '겸업금지' 조항을 손봐야 한다고 주장한다. 세계 최고 수준의 인재들을 단순히 기업과 대학 한 곳에 묶어두는 것은 인재 수급 경쟁력을 오히려 떨어뜨리는 일이라는 것이다. 정송 카이스트 AI 대학원장은 "학교의 재정이 제한적인만큼 기업과 연계해야 진짜 세계 최고 수준의 인재를 확보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국가 차원의 지원도 필요해
국가 차원에서도 AI 대학원 등에게 인재 수급과 인프라 확보를 위한 다양한 지원이 필요하다. 이성환 고려대 AI 대학원 주임교수는 "AI를 학교에서 가르칠 실력이 되는 인재라면 대학뿐만 아니라 대기업에서도 '부르는 게 값'일 정도로 몸값이 비싸다"며 "전문가 유치 경쟁이 치열한 상황에서 지금과 같은 대학 재정으로는 실력 있는 교수 충원이 어려울 것 같아 앞날이 더 걱정"이라고 토로했다.
정 원장 역시 "학교가 제안할 수 있는 연봉은 한계가 있다"며 "100억원씩 10년간 투입되는 대규모 국책 과제 등 다양한 사업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했다. 다만 AI 인재 배출에 급급해 양적 확장만을 노린 정책은 경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정 원장은 "AI 대학원은 국내 AI 정책과 교육을 이끌 최고급 인재 배출이 목표이기 때문에 단순 숫자에만 몰두하면 안 된다"며 "하고 싶은 것과 할 수 있는 것의 차이를 인정하고 선택적으로 집중 투자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했다.
◆초중등 대상 소프트웨어 친화적 교육환경 조성해야
AI 전문인력 양성은 대학 교육과 연구에 대한 투자로만 해결할 수 없다는 게 현장의 공통된 목소리다. 즉, 초중등 대상으로 소프트웨어 친화적 교육 환경을 조성하는 등 근본적 변화가 필요하다는 얘기다. 전문가들은 "인공지능 영역은 소수 대학원 운영으로 해결될 문제가 아니다"라면서 "40여 개 대학이 참여하고 있는 SW중심대학사업의 연장선상에서 인공지능 교육 추진을 유도해 근본적인 교육 체제를 구축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모았다.
유성준 세종대 컴퓨터공학과 교수는 "4차 산업혁명은 소프트웨어가 중심이고 이게 인공지능으로 이어지고 있는 것"이라며 "지금 초등학교와 중학교까지 4차 산업혁명에 맞춰 교육 제도를 바꾸고 컴퓨터 역량을 기르는 프로그래밍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이런 흐름에 맞춰 대학들도 학생들이 소프트웨어 역량과 인공지능 역량을 기를 수 있는 교육 체질로 전환해야한다"고 주장했다.
연구 환경이 '전임교수를 겸직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유 교수는 "AI 대학원만을 전임하려는 교수는 거의 찾기 힘들다"면서 "우리나라는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한계와 실망감 1970년대와 1980년대 두 차례 'AI 윈터(Winter)'를 겪은 적이 있는데, 이에 'AI 윈터'가 찾아올 것이란 염두를 항상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AI 윈터'가 다시 찾아오면 AI 대학원에 문을 두드리는 인재들이 적을 것이기 때문에 교수들이 AI대학원 전임교수뿐만 아니라 다른 관련 학과도 전임할 수 있는 전임교수 겸직권을 가질 수 있게 해야 한다는 얘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