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른바 '가족 논란'으로 도마에 오른 조국 법무부 장관의 거취를 놓고 민심이 '유지·사퇴' 입장으로 갈라지자 문재인 대통령은 "직접 민주주의 행위로서의 긍정적인 측면"이라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7일 오후 청와대에서 열린 수석보좌관회의 때 "최근 표출된 국민들의 다양한 목소리를 엄중한 마음으로 들었다. 정치적 사안에 대해 국민의 의견이 나뉘는 것은 있을 수 있는 일이며 이를 국론분열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이렇게 밝혔다.
문 대통령은 "특히 대의정치가 충분히 민의를 반영하지 못한다고 생각할 때 국민들이 직접 정치적 의사표시를 하는 것은 대의민주주의를 보완하는 행위"라며 "그런 측면에서 자신의 소중한 시간과 비용을 들여 직접 목소리를 내 주신 국민들께 감사드린다"고도 했다.
문 대통령은 계속해서 "다만 정치적 의견의 차이가 활발한 토론 차원을 넘어서서 깊은 대립의 골을 빠져들거나 모든 정치가 그에 매몰되는 것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문 대통령이 이렇게 밝힌 이유는 지난달 말부터 시작된 조 장관 거취에 대한 여론의 반응 때문이다. 지난달 28일 조 장관을 옹호하고 검찰개혁을 요구하는 진보진영의 서초동 촛불집회(주최측 추산 약 200만명)가, 지난 3일에는 광화문 조 장관 규탄 집회(주최측 추산 약 300만명)가 각각 열린 바다.
아울러 문 대통령은 정치권을 향해선 "정치권에서도 산적한 국정과 민생 전반을 함께 살펴달라는 당부 말씀을 드린다"며 "다양한 의견 속에서도 하나로 모아지는 국민의 뜻은 검찰의 정치적 중립보장 못지않게 검찰개혁이 시급하고 절실하다는 것"이라고 했다.
문 대통령은 "국회는 공수처법과 수사권 조정 법안 등 검찰 개혁과 관련된 법안들을 조속히 처리해 주시길 당부드린다"며 "법무부와 검찰도 엄정한 수사를 보장하는 한편, 법 개정 없이 할 수 있는 개혁에 대해서는 속도를 내달라"고도 했다.
한편 검찰개혁을 강조한 문 대통령의 발언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문 대통령은 지난달 27일 대국민 메시지를 통해 "조 장관 관련 의혹에 대해서는 엄정한 검찰 수사가 진행 중"이라며 "한편으로 검찰이 아무런 간섭을 받지 않고 전 검찰력을 기울이다시피 엄정하게 (조 장관 관련) 수사하고 있는데도, 검찰개혁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는 현실을 검찰은 성찰해야 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