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정치>국방/외교

2019아덱스, 볼거리는 푸드트럭이었다.

문형철 기자 자화상. 예비역 육군소령으로 군사문화 칼럼리스트로 활동 중이다.



참가기업 수가 역대 최고라고 자랑하던 '2019서울아덱스(ADEX)'에서 가장 풍성한 볼거리는 길게 늘어진 푸드트럭이었던 것 같다.

지난 15일부터 20일까지 경기도 성남에 위치한 공군 서울비행장에서는 '아시아 허브 방위전시회'라고 불리는 2019서울아덱스가 열렸다.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관련해 국내에서는 제일 큰 국제전시회다.

국제전시회라고 하지만, 규모나 전시 컨텐츠 수준에서는 유로사토리 등과는 비교하기 힘들다. 아니 무리해서 비교하고 싶지 않다. 더 초라해지니까.

14일 프레스 데이, 15일 게막식, 그리고 수일 간을 행사장 곳곳을 돌아보고 느낀게 많다. 우선, 행사진행과 보안유지가 임무인 군인과 경찰들이 너나 할 것 없이 모자를 벗고 입에 음식물을 물고 다니는 이쁜 모습이 인상적이었다. 그리고 대한민국 방위산업의 현실을 또 다시 눈과 몸으로 확인했다는 점이다.

본론은 방위산업이니, 방산 관련해 전시업체명을 빼고 쿨하게 썰을 털어볼까 한다. 해외에서 현실적으로 부적합하다고 판단한 무기체계들이 아덱스에서는 부시맨의 콜라병 마냥 이쁘게 전시돼 있더라.

전술적으로 전투원의 행동을 제약하는 안경형 전투정보전달 장치, 무거운 통합형 배터리 등으로 구성된 미래보병전투체계는 미국이 오래전에 버린 랜드워리어와 똑 닮았다.

또 다른 업체에서는 20밀리 유탄을 자동화된 사격통제장치를 달아 전시했다. K11의 무거운 사통장치가 그대로 옮겨진 느낌이다. 보병 장교복무 경험상 그리 실전적이지는 않게 느껴졌다. 미국도 이와 유사한 XM25를 추진했지만, 결국 야전의 현실에 맞지 않아 폐기됐다.

대한민국 국방과학기술의 메카라고 불리는 국방과학연구소(ADD)는 이번에 한 단계 발전된 신무기체계를 국내 방산업체를 통해 전시했다. 지난해 국회에서 열린 워리어플랫폼 세미나에서 일명 '손목 미사일'이라고 불린 놀라운 무기체계다. 이번엔 '팔뚝형 미사일'이라는 이름으로 다시금 주목을 받았다.

ADD의 꿈이 현실이 되기 위해선 인간은 열과 발사충격을 견딜수 있게 진화해야 할 것이다. 최근 미국은 전투원의 신체 전부를 파편 및 총탄으로부터 방호할 새로운 개인방호시스템을 공개했다. 놀라운건 현실적으로 적용이 가능할 정도로 가볍다.

육군 홍보관에는 적격심사 대상에서 떨어진 광학장비와, 대만에서 만들어진 복제품 피아식별장비가 전시돼 있었다. 철이 지나도 좀 많이 지났는데 자주보니 정겹게 느껴진다.

모 업체는 포토존을 만드는 서비스 정신을 보여 줬지만, 고개는 갸웃 거려진다. 자사의 제품이 아닌 2차대전 소련군의 전투사진이 왜 포토존 붙었를까 뒤늦게 문제를 알았는지 이번엔 외국군 사진으로 대체됐다. 홍보를 위한 자체컨텐츠 개발이 아쉽다.

한 유명 해외업체는 반대로 비지니스 데이가 끝나는 금요일 점심을 넘기니 전시물을 철거했다. 한때 국내 최고라고 불리던 한 총기부착용 광학장비 제조사는 구석진 곳에 아주 자그마한 규모로 자리를 잡았다. 살상력이 없는 광학장비를 총포법으로 규제하니 민간 레져 스포츠 산업에서 필요한 시장도 얼어 붙은게 우리의 현실이다. 나는 그래서 푸드트럭이 이 오일장의 최고 볼거리라 생각한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