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재계

SK하이닉스, 3Q 영업익 전년比 93%↓…수요 증가에 반등 기대↑



SK하이닉스가 예상대로 저조한 실적을 기록했지만, 메모리 반도체 수요 증가를 분명히 보여주며 반등 기대를 높였다.

SK하이닉스는 3분기 매출액 6조8388억원, 영업이익 4726억원을 거뒀다고 24일 공시했다.

영업이익은 13분기만에 최저치다. 전년(6376억원)과 비교하면 무려 93%나 폭락했다. 전분기(6조4522억원)보다도 26%나 줄었다.

매출액도 전년(11조4168억원)보다 40%나 적다. 그나마 전분기(6조4522억원)보다는 6% 더 늘었다.

당초 시장 전망과는 비슷한 수준이다. 일각에서는 메모리 반도체 수요 증가로 3분기에는 상승전환할 수 있다는 기대를 내놨지만, 미국 마이크론이 저조한 실적을 발표하면서 SK하이닉스도 이를 따를 것으로 예견됐었다.

여전히 메모리 저가 행진이 문제가 됐다. SK하이닉스는 D램이 모바일 시장 확대와 데이터센터 수요 증가로 출하량이 23% 늘어난 대신, 평균 판매가격은 16%나 더 떨어졌다고 설명했다.

낸드플래시는 평균판매가격이 전분기보다 4% 늘어나면서 반등을 시작했지만, 전분기 비중을 늘렸던 단품 판매를 축소하면서 출하량은 1% 줄었다.

이에 따라 SK하이닉스는 내년 생산과 투자를 줄일 수 밖에 없을 것으로 내다봤다. 이미 이천 M10 공장 일부를 CMOS 이미지센서 양산으로 전환 중, 낸드플래시도 2D 낸드 비중을 줄이면서 자연스럽게 생산량을 축소하는 중이다. M16 등 신규팹도 내년 하반기 예정대로 오픈하겠지만, 탄력적으로 추가 확대를 고려하겠다는 입장이다.

그러면서도 시장 반등 가능성은 높게 봤다. 데이터 센터가 재고 감소로 D램 구매를 늘리기 시작해 4분기까지도 수요 증가가 이어질 전망이고, 낸드플래시도 수급이 균형을 찾음과 동시에 고용량 수요도 확대 중이라는 분석이다.

재고 수준도 연말까지 정상 수준을 회복할 수 있다고 낙관했다. 내년 5G 보급에 따른 스마트폰 시장이 다시 커지면서 수요 증가를 견인할 것이라는 기대도 드러냈다. 미중무역분쟁이 소강상태에 접어들면서 중국산 스마트폰 생산이 다시 늘고, 정부가 보조금을 확대하는 등 정치적 이슈도 긍정적으로 봤다.

신제품 개발도 계획대로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연말까지 2세대(1y) D램 비중을 10% 초반으로 높이고, 3세대(1z) 공정 D램 양산 준비도 이어간다. LPDDR5와 HBM2E 등에도 적극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128단 4D 낸드 양산과 판매 준비를 통해 고사양 스마트폰 공략을 강화하고, SSD 시장에 힘을쏟아 비중을 30% 수준까지 늘리겠다고 밝혔다.

EUV 공정은 일단 1z D램에는 적용하지 않는다. 그 다음 단계인 1a D램부터 도입하기로 했다.

SK하이닉스 관계자는 "이번 다운턴(Downturn)의 경험을 바탕으로 사업 변동성을 최소화하는 한편,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룰 수 있도록 힘쓸 것"이라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