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랩스 석상옥 대표가 '글로벌 인공지능(AI) 연구 벨트'를 소개하고 있다. /네이버
네이버가 아시아와 유럽을 잇는 글로벌 인공지능(AI) 연구 벨트를 만든다. 글로벌 기술 네트워크를 구축해 미·중 기술 패권에 맞설 새로운 글로벌 흐름을 만들어 나가겠다는 계획이다. 현재 건축 중인 제 2사옥은 로봇 친화형 빌딩으로 건축하며 AI와 로봇 분야에 적극 투자한다.
네이버랩스 석상옥 대표는 28일 국내 최대 개발자 콘퍼런스 'DEVIEW 2019' 키노트에서 "AI 연구 벨트 핵심은 국경을 초월한 기술 교류이며, 장기적으로 미래 AI 기술 인재까지 양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글로벌 AI 연구 벨트'는 한국과 일본을 포함해 네이버의 핵심 AI 연구소가 위치한 프랑스, 세계 10위 안에 드는 개발자 규모를 갖춘 베트남 등 동남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구축되는, 네이버 중심의 기술 연구 네트워크다.
네이버는 글로벌 AI 연구 벨트 속에서 한국과 전 세계 유수에 위치한 대학 등 학계의 우수한 연구자들과 스타트업, 기관들이 각 지역에서 이뤄지는 선행 AI 기술 연구에 참여해 활발히 교류·협력하며 새로운 시너지를 만들고 우수한 인재들이 지속적으로 양성될 수 있도록 투자한다는 계획이다.
석 대표는 "오는 11월 말 AI 및 로봇 분야의 전 세계 석학들이 프랑스 그르노블 네이버랩스 유럽에 모여 진행할 워크샵이 글로벌 AI 연구 벨트의 첫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네이버는 총 9개의 AI 핵심 엔진을 자체 개발해 폭넓은 기술 라인업을 보유한 AI 플랫폼 클로바, 로보틱스, 자율주행 등 분야에서 이미 글로벌 기술 리더십을 통해 다양한 분야의 미래 기술들을 연구 중이다.
석 대표는 끝으로 "장기적으로 이 연구 벨트가 GAFA구글·아마존·페이스북·애플를 중심으로 한 미국과 BATH바이두·알리바바·텐센트·화웨이를 중심으로 한 중국의 엄청난 기술력에 견줄 수 있는 새로운 글로벌 흐름으로 부상할 수 있도록 청사진을 그려 나가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석 대표는 제 2사옥 건축 프로젝트 1784를 소개하며 "이 공간은 로봇, 자율주행, AI, 클라우드 등 네이버의 미래를 이끌 모든 기술이 융합되고 연결되는 테크 컨버전스 빌딩이 될 것"이라며 "얼굴인식을 통한 공간 출입부터 자율주행 로봇을 활용한 딜리버리 등 새로운 서비스들이 자연스럽게 구현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네이버가 보유한 기술들이 빌딩 내부에 대거 적용될 예정이다.
네이버의 시작이었던 검색서비스에 대한 기술 개선도 계속한다. 네이버 서치 김광현 리더는 "네이버가 20년 동안 국내 사용자에게 사랑받고 성장할 수 있었던 이유는 네이버가 가지고 있던 기술 때문"이라며 "네이버느 검색품질 개선을 위해 끊임없이 많은 기술을 연구해왔다"고 말했다. 이어 "검색 알고리즘과 언어처리 기술 등을 꾸준히 연구해 이용자에게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서는 AI 스타트업 대표의 발표도 진행됐다. 수아랩 송기영 대표가 'AI 스타트업의 창업과 성공스토리'를 주제로, 퓨리오사 AI 백준호 대표가 '인공지능 칩의 미래와 우리의 도전'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