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보험

올해 상반기 보험사기 적발액 4134억 '역대 최고'

보험사기 적발금액 및 인원추이, 유형별 적발 추이. /금융감독원



올해 상반기 보험사기 적발금액이 4134억원으로 역대 최고금액을 기록했다. 보험사기 적발인원은 역대 두 번째를 기록했다. 보험사기의 90% 이상은 손해보험사에서 나왔다.

31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보험사기 적발금액이 413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34억원 증가해 반기 기준 최고금액을 기록했다. 2017년 상반기 3703억원이던 보험사기 적발금액은 2018년 4000억원을 기록한 뒤 올해 상반기 더 오른 것이다.

적발인원은 4만3094명으로 전년보다 4407명 증가해 2017년 상반기(4만4141명) 이후 역대 두 번째로 많은 인원이 적발됐다. 2018년 3만8687명을 기록하며 3만명대로 떨어진 뒤 올해 상반기 다시 증가했다.

사기 유형별로 보면 고의사고 유형은 감소했지만 허위·과다사고 유형이 늘어났다. 허위·과다사고 유형의 보험사기는 올해 상반기 3130억원으로 전체 보험사기 유형 중 75.7% 비중을 차지했다. 반면 고의사고 유형의 보험사기는 518억원 적발돼 전년 동기 대비 9.4%(53억원)가 감소했다.

자동차보험·장기손해보험 적발금액 추이. /금융감독원



보험종목별로는 손해보험 적발금액이 3732억원으로 전년 대비 110억원 증가하며 전체 보험사기의 90.3%를 차지했다. 생명보험 적발금액은 403억원으로 9.7% 수준이었다.

장기손해보험사기(1733억원)는 2015년 이후 높은 증가율을 지속하며 지난해 최초로 자동차보험사기 적발금액을 추월했으나 최근 장기손해보험사기의 증가율이 둔화된 반면 자동차보험(1777억원) 적발규모는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며 다시 뒤집혔다.

연령별로는 30~50대가 전체 보험사기 적발인원의 64.8%를 차지해 가장 많았으나 10대 청소년의 보험사기가 전년 대비 24.2% 크게 증가했다. 60대, 70대 이상 고령층의 보험사기도 계속적인 증가세를 보였다. 60대의 보험사기 비중은 2017년 12.4%에서 올해 상반기 15.4%로 늘었고, 70대의 보험사기 비중은 같은 기간 2.3%에서 3.7%로 확대됐다.

금감원 관계자는 "보험이 병원치료, 자동차사고 등 일상생활과 밀접히 관련돼 있는 만큼 보험소비자가 자신도 모르는 사이 보험사기에 연루될 수 있다"며 "소액이라도 사고 내용을 조작하고 변경해 보험금을 청구했다면 보험사기에 해당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 정도는 괜찮겠지'라는 안일한 생각이 보험금 누수로 이어져 선량한 보험가입자의 보험료 인상이라는 경제적 피해를 낳을 수 있다"고 밝혔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