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운동과 공군창군에 기여한 최용덕 장군의 동상. 공군은 19일 충북 청주시 공군사관학교에서 최용덕 장군 동상 개막식을 연다. 사진=공군
공군 창군 70주년을 맞아, 독립운동과 공군창군에 기여한 최용덕 장군의 동상이 공군사관학교와 공군교육사령부에 세워진다.
공군은 19일 역사적 의미를 기념하고 새로운 100년을 준비하기 위해 원인철 공군참모총장 주관으로 공군사관학교에서 공군 창군의 주역 최용덕 장군 동상 제막식을 가진다고 밝혔다. 최용덕 장군은 공군 창군의 주역으로 1898년 서울에서 태어나 1915년 독립운동을 위해 중국으로 망명했다.
이후 1919년 대한독립청년단, 1922년 의열단에 가입해 독립운동을 펼쳤다. 1927년 중국 국민혁명군 항공대에 합류한 이후, 중화민국(현 대만) 공군의 고급장교로서 중화민국 공군 건설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1940년 광복군이 창설되자 최 장군은 광복군총사령부 총무처장 등을 거쳐 1944년 참모처장을 역임했다.
특히 1943년에는 대한민국 임시정부 공군설계위원회 조직을 주도해 공군 창군의 기원을 이루었다. 광복 후 1946년에는 공군을 창군하기 위해 국내 항공단체들을 통합하여 '한국항공건설협회'를 창립했고, 다양한 출신의 항공인의 힘을 하나로 모아 공군을 창군하기 위한 노력을 시작했다.
특히, 미군정에 공군 창군을 강력하게 요구했다. 50세의 나이에 항공부대 창설을 위해 미군정이 제시한 요구조건에 따라 1948년 4월 백의종군하여 조선경비대 보병학교에서 기본군사훈련을 받고, 조선경비사관학교를 거쳐 소위로 임관했다.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자 최 장군은 초대 국방부차관에 임명됐다. 국방부차관으로 재직 시, 국군조직법 제정에 관여하며 공군 독립에 결정적으로 기여했고, 1949년 10월 1일 최 장군의 일생 숙원이었던 대한민국 공군 창군이 이뤄졌다.
1950년 한국전쟁(6.25)이 발발하자 최 장군은 공군에 복귀해 참전했고, 1952년 제2대 공
군참모총장을 역임한 후 1956년 중장으로 전역했다. 전역 후 체신부장관, 주 중화민국 대사에 임명됐고,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수여받았다. 최용덕 장군은 "내가 죽거든 수의 대신 공군복을 입혀달라"는 유언을 남기고 1969년 8월 15일 71세의 나이로 타계했다.
공군사관학교와 교육사령부에 세워지는 최용덕 장군 동상은 높이 3.2m로 손을 펴서 하늘을 바라보고 있는 형상으로, 동상 좌대와 뒷편 부속조형물에는 최 장군의 일대기가 서술되었다. 최 장군의 동상은 공군의 주역이 될 교육생들에게 귀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