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 SK회장이 23일 중국 장쑤성 난징대학교에서 열린 '2019 난징포럼'에서 개막연설을 하고 있다. /SK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중국 난징에서도 사회적 가치 창출을 당부했다.
SK그룹은 최 회장이 22일부터 사흘간 중국 장쑤성 난징시에서 'AI 시대, 미래를 열다'를 주제로한 난징포럼에 참석했다고 24일 밝혔다.
난징포럼은 최종현학술원과 난징대학이 매년 공동주최하는 사회·자연과학 분야 학술포럼이다. 최 회장은 최종현학술원 이사장 자격으로 포럼에 참석했다.
최 회장은 23일 개막 연설을 맡아 머신러닝과 AI 등의 기술이 근심과 걱정을 불러올 수 있다며, 인류를 위해 사용될 수 있도록 사회적 가치를 측정할 방법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어서 SK그룹이 사용하는 사회적 가치 측정 방법 '더블보텀라인(DBL)'을 소개했다.
이어서 최 회장은 지난해 SK그룹이 장쑤성에서 1억5200만달러 규모 사회적 가치를 만들어냈다며, 2023년까지 사회적 가치 마이너스를 없애고 10년 뒤에는 20억달러로 성장시킬 것으로 예상했다.
최태원 SK회장이 23일 중국 장쑤성 난징대학교에서 열린 '2019 난징포럼'에서 개막연설을 하고 있다. /SK
최 회장은 SK그룹이 반도체, 전기차 배터리, 첨단소재 등 분야에서 AI와 빅데이터 등 첨단기술을 활용해 사회적 가치를 창출해온 사례도 소개했다. 반도체 공장이 AI와 빅데이터 시스템을 도입해 경제적·사회적 가치 요인을 최적화하는 알고리즘을 찾아냈고, 전기차 배터리도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수명 연장과 잔존가치 유지 등 환경오염 축소 및 소비자 편익 증대에 나서겠다는 내용이다.
마지막으로 최 회장은 과학기술 변화 속도에도 우려를 표하며, 전문 기술 인력 육성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행사 후에는 난징대와 AI 분야에서 공동연구를 진행할 '지능형 솔루션 창신센터' 설립 협약식도 체결했다. SK 경영진들과 러우친젠 장쑤성 당서기 등 고위 관계자를 만나 사업 협력도 모색했다.
한편 최 회장은 전세계에 사회적 가치를 전파하며 다양한 성과를 내고 있다. 중국 정부와 사회적가치 창출 및 측정방법을 공동 개발하고 있으며, 글로벌 기업과도 '밸류 밸런싱 얼라이언스(VBA)'를 만들기도 했다.